기관소개최상의 물종합서비스 기업, K-water 소개입니다.

국민소통

HOME국민소통정보공개워터북 플레이스

워터북 플레이스

상세검색
결과내 재검색
분류
출판년도
~
정렬기준 서명순 출판년도
정렬방식 오름차순 내림차순

총 게시물 711

  • 물공급 예비율 활용을 위한 수질영향 분석 연구 분야 : 연구출판년도 : 2019.12

    신규 시설물 건설을 통한 추가적인 용수공급량 확보는 어려운 실정이나,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 도시화 등으로 물 공급 여건은 갈수록 악화될 것으로 전망
    저수위 이하 비활용용량 중 사수용량(공급불가능 용량)은 전체 19개 다목적댐에서 8.6억m3(비활용용량 25억m3, 비상용량 16.4억m3) 보유중이나 공급시설이 없어 용수공급 불가한 실정
    최근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빈번한 극한가뭄 발생과 이로 인한 댐 용수공급 차질로 여러 분야에 걸쳐 물 부족 피해 발생
    댐 저수위 이하의 사수용량을 활용하기 위한 취수탑 등의 설치 시 취수에 따른 저수지 내 수질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수질 영향 및 후속 정수처리공정에의 영향이 적은, 경제성이 있는 취수 가능수위 검토 필요

  • 물과 녹색성장(WGG) 정책가이드 고도화 및 실행 확산을 위한 연구 분야 : 연구출판년도 : 2018.05

    물과 녹색성장(WGG) 정책 가이드 고도화 및 실행 확산을 위한 연구(3차 년도)는 2010년 대한민국 정부(국토부, 녹색성장위원회), K-water, 세계물위원회(World Water Council, WWC)가 시작한 연구를 계승?발전시키고 WGG의 나아갈 길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먼저, 물과 녹색성장(WGG)의 의미를 고찰해보았다. 물은 한 시회의 경제적?사회적?환경적 발전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물과 녹색성장(WGG) 연구는 물과 함께 한 대한민국의 경험과 발전의 여정을 소개하고자 하였으며, 과거 선진국이 경험한 회색(Grey) 혹은 갈색(Brown) 성장이 아닌 녹색성장(Green Growth) 즉, 환경과 경제 모두를 가질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형성성도 제고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므로 여전히 그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물과 녹색성장(WGG) 관련 국제 동향을 정리하고 분석한 결론은 국제적으로 녹색성장(Green Growth)은 계속 진화하고 있으며 그 가치와 의미를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국가 혹은 기관은 여전히 활동 중이라는 사실이다. 물론, 전세게 모든 나라가 한 입으로 녹색성장을 외치는 것은 아니지만 녹색성장의 가치와 의미를 수용한 국가나 기관들은 꾸준히 활동하고 있었다. 또, 한국이 주도적 역할을 수행해 만든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나 산자부 소속의 녹색기술센터(GTC)는 지속적으로 자신의 역할을 증대시키고 사업을 확장하고 있었다. 녹색성장 선도국가인 덴마크는 State of Green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정기적으로 뉴스레터를 송부하면서 덴마크 물, 에너지, 교통, 도시 등의 분야의 우수사례들을 정기적으로 알리고 있다. 또한 덴마크는 P4G라는 플랫폼을 활용하여 민-관 협력을 촉지하면 덴마크 녹색 산업의 발전도 도모하고 있었다.
    물과 녹색성장(WGG) 아젠다의 가치와 의미를 되새기고 국제사회의 움직임을 이해하면서 기존의 사례연구를 보완하게 되었다. 향후에는 국내 하수처리 관련 사례 분석을 함으로써 국내 하수도사업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키고 WGG 관점에서 정책적 함의를 찾는 것도 유의미할 것이다. 또한, 정책가이드라인과 로드맵은 정책과정의 과정 속에서 WGG가 잘 자리 잡을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였으며, 과거 연구에서는 주목하지 못했던 정책 조합(Policy Mix) 요소간 갈등 해결을 위한 플랫폼 혹은 메커니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끝으로, 물과 녹색성장(WGG)의 발전 방향과 방법을 기술하였다. 전임자들의 땀과 노력으로 WGG는 국제 아젠다로 자리잡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크건 작건 지속적인 노력과 관리가 없다면 한국이 가졌던 주도권과 WGG의 의미와 가치는 퇴색될 것이다. 당장, 외교부와 환경부가 추진하는 P4G 플랫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기여함으로써 WGG 아젠다가 민관협력 플랫폼에서 잘 자리 잡아 국내 물산업 발전에고 기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또한, 국내에 있는 녹색 아젠다 관련 기관들과 협업기회를 발굴하고 협력하여 리더쉽을 증대하고 종국에는 사업기회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끝으로, WGG 아젠다의 고도화를 위해서는 작금의 물문제 해결 능력이 필요하며 이는 기술적 혁신이 제도적 혁신과 결합되어야 한다. 발전 방안에서 제안된 작은 사항이라도 현실화 되어 WGG가 보다 물 문제 해결에 보다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물과 녹색성장(Water and Green Growth) 전략수립을 위한 국제적 공동연구 분야 : 연구출판년도 : 2015.01

    녹색성장에서 물의 역할과 중요성을 연구하는 물과 녹색성장 국제공동연구 1단계 연구결과를 계승 발전시키고 이론적 측면의 보강을 통하여 국제적인 아젠다로 정립함은 물론, 전세계에서 물과 녹색성장과 관련한 사례를 수집, 분석하여 바람직한 녹색성장으로 가는 로드맵을 마련

  • 물관련 재해에 관한 역사 연구-조선시대-(1차년도) 분야 : 연구출판년도 : 2002.12

    조선시대 물관련 재해 기록을 발췌 정리하고 중요한 사례를 분석하여 재해에 대처한 내용 및 재해가 정치, 사회, 경제 등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시점에서 배울점, 시사점 등을 파악, 수자원정책수립, 환경운동 뿐만아니라 국민 모두의 지혜롭고 합리적인 판단과 행동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 목적이다.

  • 물관리 일원화에 따른 유역통합 관리측면의 수변 생태벨트 모델 개발(1차년도) 분야 : 연구출판년도 : 2020.06

    ■ 본 연구는 댐, 하천과 주변 토지를 융합하는 수변생태벨트 관리방안 마련을 위하여 유역중심의 지속가능한 수질·수생태 기반을 마련하고 수역과 주변 토지를 융합하는 통합적 관점의 新수변생태벨트 모델을 연구하고자 함
    ■ 이를 위해 현행 수변생태벨트 관련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통합 물관리 체계와 新수변생태벨트 모델 구축을 위한 개선점과 추진전략을 제시하였음
    ■ 현황분석 결과를 토대로 PESTLE-SWOT분석을 시행하고, PESTLE-SWOT 분석은 환경부 등 정책시행자 관점(내부요인), 환경부 이외의 타부처, 지역민, 지자체의 관점(외부요인)에서 수변생태벨트 사업의 긍정적, 부정적인 요인을 구분하고, 이를 종합하여 SO전략, WO전략, ST전략, WT전략의 4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최종적으로 28가지 전략을 제시하였음
    ■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제도 개선점 및 추진전략은 수변구역 및 하천구역의 통합관리를 위한 법·제도 구축 및 제내·외지 융합을 위한 수변생태벨트 모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함

  • 물관리기술 해외진출 플랫폼 구축 기획 최종보고서 분야 : 연구출판년도 : 2014.10

  • 물관리를 위한 초고해상도 강우예측기술 고도화 분야 : 연구출판년도 : 2019.12

    댐-보유역에 발생하는 국지성 집중호우의 예측능력 향상을 위해 K-PPM의 공간 해상도 (3 ㎞ × 3 ㎞)를 레이더 관측 수준인 1 ㎞ × 1 ㎞로 고도화하였다.
    신규 도메인의 수평 해상도 고도화에 따라 연직층수 별 민감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新 K-PPM의 수평 해상도 및 연직층수 고도화 결과 기존 K-PPM보다 극값 예측 능력이 개선되었다.
    초고해상도 강우 예측에 알맞은 물리과정 조합을 찾기위해 20개 실험의 분석대상 유역별로 상관계수, RMSE, BIAS를 구하였고, 순위를 매기기 위하여 가중치를 두어 점수로 환산하였다.
    기존 K-PPM의 물리과정 및 연직층수를 고정한 규준실험보다 다른 물리과정 조합 또는 연직층수를 고도화한 조합의 모의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상위권을 차지한 물리과정 조합은 극값, Pattern Correlation, Difference 분석 결과에서도 다수의 사례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최근 3년 집중호우 모의실험 사례를 통해 도출한 앙상블 후보군 순위뿐만 아니라 물리과정 조합별 적분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최종 앙상블 후보군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 물기업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금융조달 방안 연구 분야 : 연구출판년도 : 2018.09

    ㅇ 해외 물시장은 ’17년 기준 약 7,252억달러 수준으로 2020년 8,184억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GWI 2017)되며, 대구·경북 물산업 클러스터의 조성 또한 국내 물기업의 해외 물시장 진출에 대한 신성장 동력으로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 증가
    - 정부는 물기업의 지원을 위해 한국국제협력단(KOICA)와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의 지원 확대 및 시장 수요에 맞는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하여 우리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 수립(WBF 개최, KWP 설립)
    ㅇ 글로벌 물시장 경쟁 심화, ICT 융합 및 에너지 효율적 물관리 체계의 개발 등 광범위하고 거대한 글로벌 물시장 확대에 대한 대응 필요
    - 기존의 연구는 물산업의 일반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국내 물시장을 분석하였으나, 이제는 보다 구체적이고, 물산업의 핵심주체인 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 및 해외진출을 위한 범정부 차원에서의 맞춤형 금융지원 전략 수립이 필요

  • 물문화 창달을 위한 물 심포지엄 발표논문집 분야 : 연구출판년도 : 1992.12






  • 물분야 공공기관 전문컨설팅 일자리 확대 공동정책 연구 분야 : 연구출판년도 : 2019.08

    - 現정부의 경제정책 기조인 혁신성장 및 일자리 창출, 국내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방안마련을 위해 공공분야 중장기 정책과제(5년)를 통해 새로운 Agenda 및 Idea 발굴
    - 물분야 SOC공공기관의 인프라 건설 및 운영 등 K-water의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전문컨설팅 사업과 일자리 확대 방안 제시를 통해 기재부의 공공기관 운영정책에 반영
    - 혁신성장과 청년 일자리 창출 차원에서 관련 해외공기업(예, 싱가포르 PUB)의 자회사 설립 및 운영을 통해 자국의 물기술 홍보와 물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정책의 시사점 발굴을 통한 국가 지원정책 Framework 연구
    - 공기업 해외관련 분야를 자회사로 독립·운영하여, 국내외 전문컨설팅 사업을 수행하고 일자리 창출을 통한 국가정책(국내기업 해외진출, 일자리창출 등) 수립을 통해 사회적 가치실현
    - K-water의 해외사업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한 해외진출 활성화 및 확대 전략방안으로 발전시켜 향후 자회사 설립을 토한 K-water 경영전략 및 해외진출 전략에 부합한 新부가가치 창출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