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소개최상의 물종합서비스 기업, K-water 소개입니다.

국민소통

HOME국민소통맑은물공급 요금 수도요금현황

수도요금현황

트위터 페이스북

수돗물 사용현황

1. 우리나라 수돗물 사용 현황(2021년 상수도 통계 기준)

우리나라 국민 1명이 하루에 평균적으로 사용하는 물의 양은 302리터입니다. 이는 가정용 200리터, 일반(영업)용 84리터, 공업용 8리터, 공공(업무)용 5리터, 욕탕용 2리터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가정용 66%, 일반(영업)용 28%, 공업용 3%, 공공(업무)용 2%, 욕탕용 1%

2. 주요 해외 국가 수돗물(가정용수) 사용 현황 (2016 GWI 통계 기준)

주요 해외 국가 평균 수돗물(가정용수)의 사용량은 203리터입니다. (한국 : 183리터)

한국과 비교시 일본은 2.0배, 미국 1.9배, 영국 0.8배, 중국 0.5배 등이며, 한국은 전체 평균의 약 90%에 해당하는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평균: 203, 일본: 373, 호주: 340, 미국: 340, 캐나다: 274, 스페인: 265, 러시아: 248, 터키: 217, 이탈리아: 190, 한국: 183, 멕시코: 183, 브라질: 174, 포르투갈: 161, 영국: 150, 프랑스: 150, 인도: 139, 덴마크: 131, 독일: 127, 폴란드: 125, 중국: 95

(단위 : ℓ pcd)
주요 해외 국가 평균 수돗물 사용량과 비교 정보 입니다.(단위 : 원/m3)
구분 한국 일본 미국 캐나다 멕시코 영국 덴마크 중국
사용량 183 373 340 274 183 150 131 95
비교(배) 1.0 2.0 1.9 1.5 1.0 0.8 0.7 0.5

* GWI: Global Water Intelligence (글로벌 물 전문 조사 기관, 영국 소재)

주요 해외 국가 수도요금 현황 (2022 GWI 통계 기준)

주요 해외 국가의 평균 수도요금은 톤(㎥)당 1,822원이며 한국은 721원 입니다.

한국과 비교 시 영국은 4.3배, 미국 3.6배, 일본 1.8배, 중국 0.7배로 한국의 수도요금은 주요 해외 국가 전체 평균의 39.6% 수준입니다.

평균(1,822), 덴마크(4,009), 독일(3,566), 호주(3,462), 영국(3,098), 캐나다(2,928), 미국(2,616),(프랑스(2,525), 스페인(1,796), 포르투갈(1,575), 폴란드(1,484), 브라질(1,302), 일본(1,275), 멕시코(1,145), 이탈리아(1,080), 러시아(768), 한국(721), 터키(664), 중국(469), 인도(130),

(단위 : 원/m3)
주요 해외 국가 평균 수돗물 사용량과 비교 정보 입니다.
구분 한국 덴마크 독일 영국 미국 일본 중국 인도
요금 721 4,009 3,566 3,098 2,616 1,275 469 130
비교(배) 1.0 5.6 4.9 4.3 3.6 1.8 0.7 0.2

※ 환율(’22.6.30.) : 1USD = 1,301.5원

※ GWI : Global Water Intelligence (글로벌 물 전문 조사 기관, 영국 소재)

정수요금과 소비자물가지수 비교

’11년 이후 광역상수도 정수 요금단가는 9.8% 상승하였으며,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19.9% 상승하였습니다.

정수요금과 소비자물가지수(2015년=100) (단위:원/㎥)

* (소비자물가지수, 통계청) 대표적인 인플레이션 지표, 일상생활에서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조사, 평균 생계비나 화폐의 구매력 변동을 측정

우리나라 지방상수도 요금 현황(2021 상수도 통계 기준)

  • 전국 수돗물 평균단가는 톤(㎥)당 721원입니다. (특·광역시 629원, 시 771원, 군 944원)
  • 시설규모가 크고 급수인구가 많은 특·광역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세한 시와 군 지역의 수도요금이 높게 형성되고 있습니다.
  • 최저 평균단가 지역은 성남시(405원/㎥)이며, 최고 평균단가 지역은 단양군(1,750원/㎥)으로 약 4.3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 수도사업자별 평균단가 (단위:원/㎥) : 평균 721, 특광역시 629, 시 771, 군 944
  • 최고 최저 비교 (단위:원/㎥) : 평균 721, 성남시 405, 단양군 1,750
  • 지방상수도는 시설 및 인구규모, 취수원의 유무, 취수원과의 거리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생산원가 및 수도요금의 격차가 발생합니다.
    또한, 생산여건이 유사하더라도 지방자치단체별로 상이한 요금 정책에 따라 요금격차가 발생합니다.
  • 이처럼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지방상수도는 근접·인접 지역에서도 요금의 격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국회, 언론 등에서 지역간 요금격차 해소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수도생산원(원/톤) 분포 지도 [이미지]
  • 수도요금 평균단가(원/톤) 분포 지도 [이미지]

지방상수도 요금 부과기관 및 납부처

개별 소비자의 업종별(가정, 업무, 욕탕, 영업) 수도 요금은 소재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에서 부과하며 고지된 수도 요금은 해당 지자체로 납부하여야 합니다.

지방상수도 개별 요금 확인 방법

K-water는 광역상수도와 댐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지방상수도는 일부 수탁받은 지방자치단체에 한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K-water 공급지역고객센터(1577-0600)

K-water를 공급하는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세부 지역 안내표 입니다.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동두천, 양주, 파주, 광주 논산, 서산, 천안(공업), 금산, 단양 정읍, 나주, 함평, 완도, 진도, 장흥 예천, 고령, 봉화, 사천, 거제, 고성, 통영, 청송

특·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특·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의 구분, 대표전화, 홈페이지에 대한 안내표 입니다.
구분 대표전화 홈페이지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02-120 바로가기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051-120 바로가기
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032-120 바로가기
대전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042-121 바로가기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053-120 바로가기
울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052-120 바로가기
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062-121 바로가기

※ 시·군 지역은 해당지역 상(하)수도사업소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지방상수도 요금부과 근거

각 지방자치단체의 「수도(급수) 조례」에 의해 요금이 결정되며 업종별(가정, 업무, 욕탕, 영업) 요율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예) 「서울특별시 수도조례 제23조 및 별표1~2」 「부산광역시 수도급수조례 제28조 및 별표3」

지방상수도 요금체계

구경별 정액 요금 + 사용요금

  • 구경별 정액 요금 수돗물 사용여부에 관계없이 수도계량기의 구경에 따라 매월 정액으로 부과하고 납부합니다.
  • 사용요금 개별 소비자(가정 등)가 사용한 사용량(㎥)에 따라 업종별(가정, 업무, 욕탕, 영업) 요율로 부과하고 납부합니다.

    ※ 자세한 사항은 각 지자체 상(하)수도사업본부 및 사업소 홈페이지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예시) 서울시 수도 요금 요율

구경별 기본요금((예시)서울시)

구경별 기본요금((예시)서울시) 안내 구경(mm), 요금(원), 구경(mm), 요금(원) 안내표 입니다.
구경(mm) 요금(원) 구경(mm) 요금(원)
15 1,080 100 89,000
20 3,000 125 143,000
25 5,200 150 195,000
32 9,400 200 277,000
40 16,000 250 375,000
50 25,000 300 465,000
65 38,900 350 565,000
75 52,300 400이상 615,000

상수도 사용요금((예시)서울시)

상수도 사용요금((예시)서울시) 안내 업종/구분, 사용구분, 단가 안내표 입니다.
업종/구분 m3당 단가(원/m3)
가정용 580
욕탕용 500
일반용 1,270

홈페이지 만족도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십시오.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

홈페이지 만족도 조사
  • 담당부서 : 수도기획처
  • 담당자 : 김정선
  • 전화번호 : 042-629-3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