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소개최상의 물종합서비스 기업, K-water 소개입니다.

국민소통

HOME국민소통정보공개워터북 플레이스

워터북 플레이스

상세검색
결과내 재검색
분류
출판년도
~
정렬기준 서명순 출판년도
정렬방식 오름차순 내림차순

총 게시물 711

  • 낙동강 윗물 남강 수계오염원 평가 및 물환경개선방안 연구(2차년도) 분야 : 연구출판년도 : 2019.12

    O 낙동강은 강원도에서부터 영남 지방을 통해 부산광역시를 거쳐 남해로 흐르는 강이다. 타수계와 달리 낙동강 유역 용수의 70%는 하천수를 직접 취수원으로 사용한다. 하지만 낙동강은 중상류 유역부터 오염원이 밀집해 있지만, 강을 활용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중류 및 하류에 거주하기 때문에 낙동강 수질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이 매우 높다.

    O 낙동강 본류를 취수원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해, 낙동강의 수질 개선 사업들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다. 그 중 낙동강으로 유입되는 지류의 수질 개선 또한 중요한 과제다. 대구광역시의 금호강, 진주의 남강 등 낙동강 본류로 직접 유입되는 지류들 중 산업이 발달한 도시들이 상당수 존재하여, 이러한 지류의 유입은 낙동강 본류 수질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그 중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남강은 낙동강의 제1지류 15곳 중 하나이며, 그 중 유로연장 및 유역면적이 가장 큰 하천이다. 남강은 진주뿐만 아니라 경남 서부를 가로지르는 핵심 하천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된다.

    O 남강 하류는 잦은 수해로 인해 지속피해가 있었으나, 1970년 남강댐을 건설함으로서 홍수조절 및 남강·낙동강 하류지역을 관개하고, 진주와 진삼공업지구에 전력과 용수를 공급한다. 남강 상류의 농경지와 남강 하류의 도심 및 공업지역 그리고 둘 사이를 구분 짓는 남강댐으로 인해 남강의 수질은 상·하류 간의 차이가 크다. 특히 남강 하류는 질소와 인에 의한 전형적인 수질 부영양화 현상을 띠고 있다. 이에 진주시는 환경친화적 푸른도시 건설을 위하여 푸른진주시민위원회를 지속적으로 운영 중이다. 이에 남강을 친자연형성 하천으로 조성하기 위해 많은 사업을 추진하였다. 기존 인공구조물인 콘크리트 주차장, 콘크리트 호안, 둔치 내 도로 등을 철거하고 자연적인 잔디 블록 주차장 조성과 호안에 자연석 쌓기 및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수생동식물의 서식처를 만들고, 비점오염물질 등에 의한 남강 수질개선 및 친환경적인 녹지공간을 조성하였다.

    O 진주시를 중심으로 남강 유역의 하천 건강성을 회복 및 유지하려는 노력이 지속됨에도 불구하고, 남강은 항상 수질오염의 위험에 노출되어있다. 환경부는 이에 효율적인 유역관리를 위해 물환경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시행했다. 이 기본계획에서 유역의 오염부하량 삭감에 의한 하류의 목표수질 달성이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을 만큼, 남강 수계의 오염은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었다.

    O 현재에도 낙동강의 근본적인 수질개선을 위해 사업이 추진 중에 있으며, 대표적인 사업으로 낙동강유역환경청의‘낙동강 윗물살리기 마스터플랜’을 꼽을 수 있다. 이는 낙동강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낙동강으로 유입되는 지류지천의 수질 개선이 우선되어야한다는 취지로,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중장기계획이다. 또한 수질오염총량제를 통한 BOD 및 T-P의 저감을 지향하여 현재에는 중권역목표수질(남강댐·남강중권역 수질 기준: Ib)을 효과적으로 달성하였다. 이에 2016년도부터 소하천의 수질오염이 우려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류총량제를 시행하여, 2016년도부터 2018년도까지 3개지류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는 기존의 수질오염총량제와 달리 선택적 관리대상오염물질을 관리하며, 다양한 유량조건, 그리고 지역사회의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앞으로의 기대효과가 긍정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남강 유역에는 함안천, 하촌천, 지내천, 석교천, 향양천의 5개의 주요 지류가 포함이 되지만, 이외에도 국가수질측정망 내에 포함되어있는 남강유역 14개 지류 및 기타 소지류들에 대한 관심 및 관리 또한 중요하다. 남강 전체 유역에 넓게 분포하는 농경지 및 과수원은 지류와 직접적으로 연관을 맺기 때문이다.

    O 2014년 3단계 경상남도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결과에 따르면 남강 유역내 오염원의 자연증감에 의한 장래부하량(2020년)은 각각 BOD 1,917kg/일, T-N 1,098kg/일, T-P 28kg/일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그림1-1). 토지계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원의 영향이 주된 원인이었으며, 남강D 유역의 배출부하량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현재수준과 같이 별도의 물환경 개선계획 마련 및 대책 없이 지속될 경우 향후 남강유역의 조류 발생 문제는 더욱 악화될 우려가 있어 꾸준한 관리와 수질개선 문제에 대한 방안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판단된다.

    O 남강댐중권역의 경우에는 남강댐 내의 수질관리를 위한 조류경보제를 실시한 이후 최초로‘경보(10,000 cells/ml)’단계의 주의보가 발령이 되었으며, 이는 154일의 장기화(2017년 07월 27일~2018년 01월 03일)로 인해 남강 유역의 수질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 남강 중권역의 경우에는 진주시의 상평공업단지를 포함한 의령군,

  • 낙동강 하구둑 BUILDING PIT공법조사연구 분야 : 연구출판년도 : 1985.12

    1. 서 론
    2. 공사현장 개요
    가. 공사개요
    나. 지형 및 지질
    다. 토질상태
    3. 구조물 시공을 위한 공법결정
    가. 가물막이 및 Building pit
    나. Deep well공법 및 설계
    다. Well point공법 및 설계
    4. 현장시공 및 관리
    가. 현장 양수 시험 및 Deep well 시공
    나. 양압력에 의한 heaving 검토
    5. 결 론

  • 낙동강 하구둑 방류량 산정방법개선 분야 : 연구출판년도 : 1999.12

    본 연구에서는 하구둑 방류량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로펠라 유속계, 전자파 표면유속계 및 ADCP(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를 이용하여 하구둑 상ㆍ하류 수위차별, 수문개도별 그리고 수문조합별로 하구둑을 통하여 흘러나가는 유량에 대한 유량측정 조사를 실시하고, 또다른 방법으로 유입부인 진동지점부터 출구부인 하구둑지점까지를 대상으로 1차원 부정류모형인 Loopnet과 FLDWAV를 이용하여 유량측정결과 및 하구둑 방류량을 재검증하여 하구둑 방류량 산정에 문제점이 있을 경우 이를 개선하여 낙동강 하구둑의 운영효율을 개선하고자 한다.

  • 낙동강 하구둑구조물 토압경감 및 지진재해대책 방안수립기초조사연구 분야 : 연구출판년도 : 1995.12

  • 낙동강 하구환경관리조사:1989 분야 : 연구출판년도 : 1989.12

    서 론
    1. 기상환경 조사
    2. 이화학적 수질 조사
    3. 조 류
    4. 식물성 Plankton
    5. 어 류
    6. 미생물
    7. 저질 중금속

  • 낙동강권역 광역 지하수조사 연구 분야 : 연구출판년도 : 2000.12

    본 조사 연구의 목적은, 낙동강권역의 광역적인 지하수 특성을 도출하고 수문지질 자료를 종합 분석하며, 광역 수문지질도를 작성함과 아울러 향후 지하수 관리 자료 및 조사 기술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사 연구의 주요 내용은 낙동강권역 일반 현황, 광역 지질/지형 분석, 지하수 개발 가능량 산정, 충적층 지하수 특성조사, 지하수 수질 조사 및 광역 수물 지질현황도 작성으로 대분된다.

  • 낙동강권역 광역 지하수조사 연구(부록) 분야 : 연구출판년도 : 2000.12

  • 낙동강권역 광역 지하수조사 연구(요약) 분야 : 연구출판년도 : 2000.12

  • 낙동강권역 광역지하수조사연구(1차년도) 분야 : 연구출판년도 : 1999.12

    본 보고서의 주요 조사 연구 내용은 낙동강권역 일반 현황 조사, 광역 지질/지형 분석, 지하수 개발 가능량 예비 산정 충적층 특성조사, 지하수 수위조사, 지하수 수질 조사 및 광역 수문지질도 작성 등이다.

  • 낙동강수계 댐 방류량조절을 위한 하도추적모형연구 분야 : 연구출판년도 : 1997.12

    낙동강 수계 다목적댐 하류 지역에 대한 홍수조절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강우-유출 모형으로 선정된 저류함수법으
    로 낙동강 수계 다목적댐 하류부의 유역유출 체계를 먼저 구성
    하였다. 저류함수법에 의한 낙동강 수계 유역유출 체계도는 유
    역의 물리적 특성을 감안하여 소유역은 41개,하도망은28개로 구
    성하였다. 또한 수문학적 하도추적 기법이 갖는 결점을 보완하
    기 위하여 낙동강 본류 및 상류에 댐이있는 금호강,황강,남강,
    밀양강 등1 지류 이상의 홍수추적을 수리학적 모형으로 보완하
    여 유역유출 체계를 이원화하여 두시스템을 상호.연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해석적 방법으로 유역에서 관측 수문
    자료를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대화식으로 산정할수 있는 GUI 시
    스템을 EXCEL97 환경에서 개발하여 신뢰성있는 Rating curve가
    확보된 다목적댐 상.하류에 위치한 12개 수위관측소에서 89개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유역의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또한,미계
    측 유역의 저류함수 관련 매개변수 확장을 위하여 12개 소유역
    에 대한 매개변수의 평균값과 유역면적,하도연장 및 경사,유역
    의 사면경사 등의 지형인자들을 조합하여 지역화분석을 수행하
    여 미계측 유역의 매개변수 산정식으로 제안하였다. 본 회귀식
    으로 산정된 소유역별 매개변수를 93년8월 홍수에 적용한 결과
    낙동강 수계 본류상 주요 수위관측소별 홍수량예측이 이근천공
    식 보다 양호한 결과를 주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유역의 매개변
    수 회귀식은 미계측 유역의 매개변수 산정시 충분한 활용성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