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 국내 최대규모 활성탄 재생시설 도입
□ 10월 20일(목) 한국수자원공사 덕소정수장에서 국내 최대규모 활성탄 재생시설(48㎥/일) 착공식 개최
□ 2023년 완공 목표, 활성탄 수급 리스크 저감을 통해 고품질 수돗물 생산 안정성 확보 및 온실가스 저감(연간 약 2,800톤) 기대
□환경부 산하 한국수자원공사(사장 박재현)는 10월 20일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한국수자원공사 덕소정수장에서 국내 최대규모로 설치되는 입상활성탄 재생시설의 착공행사를 개최했다.
ㅇ 착공식에는 박재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을 비롯한 조희송 한강유역환경청장 등 약 80명의 내외빈이 참석하여 진행되었다.
□ 활성탄은 고도정수처리시설*에서 수돗물을 만들 때 최종 여과 과정에서 사용되며, 미세한 구멍이 수돗물의 냄새물질 등 미량유해물질을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 (고도정수처리시설) 일반정수처리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맛?냄새 물질, 미량유해물질 등의 처리를 위해 활성탄 공정 등을 추가해 처리하는 시설
ㅇ 석탄을 원료로 제조되는 활성탄은 현재 중국에서 전량 수입하여 국내 60개소 정수장에서 연간 약 4만4천㎥을 사용 중이다.
ㅇ 정부는 활성탄을 긴급수급조절물자로 지정 관리 중으로, 이에 한국수자원공사와 조달청은 활성탄 비축사업 업무협약(‘22.7월)을 체결하는 등 활성탄 수급 취약성 극복을 위해 노력해 왔다.
ㅇ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번 사업을 시작으로 활성탄 교체 방식을 신탄 구매방식에서 기존 활성탄 재생방식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 이번 사업 역시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의 안정적인 활성탄 수급을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한국수자원공사는 국내 최대 규모(48㎥/일) 입상활성탄 재생시설을 약 420억 원을 투입하여 오는 2023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ㅇ 이 시설을 통해 재생된 활성탄은 덕소, 성남 및 고양정수장을 포함하여 한강유역 등에 위치하는 10개 광역상수도 정수장에 공급될 예정이며, 연간 11,669㎥의 활성탄을 재생할 예정이다.
ㅇ 또한, 향후 전국의 광역상수도 정수장의 활성탄을 재생할 수 있도록 낙동강, 금강, 영·섬유역에도 순차적으로 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 박재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이번 사업은 안전하고 깨끗한 물공급을 위한 필수 물질인 활성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의미가 크다”라며, “철저한 공정관리 및 안전관리를 통해 선진적인 시설이 건설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