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천댐 준공, 기후변화 대응 및 지역주민 안전과 상생을 위한 새로운 도약 이미지[1]](/thumbnail/2/rhcfKHqpyJRla1AKtxfNsQdlWvfHYviqEA0a6GMStgRFn_2F_2BX9ihjBSfJWV9qMbIa.do)
![원주천댐 준공, 기후변화 대응 및 지역주민 안전과 상생을 위한 새로운 도약 이미지[2]](/thumbnail/2/rhcfKHqpyJRla1AKtxfNsQdlWvfHYviqEA0a6GMStgR45ClyWkoJ44mKM70IFcOu.do)
원주천댐 준공, 기후변화 대응 및 지역주민 안전과 상생을 위한 새로운 도약
- 10월 31일 국내 지역건의댐 중 최초로 준공. 홍수 예방을 갈망하는 지역사회의 긴밀한 소통 결실, 사업 확정 후 10년만 준공
- 과거 홍수로 인명·재산 피해 난관, 스마트 홍수방어 등으로 주민 안전 확보
- 댐 하류 공원 등 조성, 관광 명소 활용으로 지역사회와 상생 기반 확대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지역사회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발걸음이자 정부, 지자체, 지역 주민 등 상생의 결실인 원주천댐의 준공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는 10월 31일 환경부·원주시 주관으로 강원 원주시 원주천댐 하류 공원에서 열린 ‘원주천댐 건설사업 준공행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환경부 장관을 비롯하여 강원도지사, 원주시장, 지역구 국회의원 및 지역주민 등 300여 명이 함께하였으며, 한마음으로 원주천댐 준공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됐다.
원주천댐은 극한 호우로 발생한 원주천 유역의 홍수 저감을 목적으로 조성된 홍수조절 전용 댐이다. 원주천 유역은 2002년 태풍 루사 등 반복된 집중호우로 인명피해와 더불어, 1998년부터 12년간 약 535억 원에 달하는 재산피해가 발생하며 홍수 위험지역으로 분류되는 등 홍수 예방대책이 절실했다. 이에 따라, 지자체(원주시)와 중앙정부 등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2014년 사전검토 및 지역 의견수렴 등을 거쳐 사업이 확정됐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우리나라 지역건의댐 중 최초로 준공된 원주천댐은 원주시 판부면 신촌리 및 관설동 일원에 저수용량 약 180만 톤, 홍수조절용량 약 174만 톤 규모로 조성되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원주천댐의 설계·시공 등에 최신 홍수조절 기술인 스마트 홍수방어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기상 데이터와 실시간 연동을 통해 기상 상황에 따라 유입 강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방류하는 안정적 수위 조절로 도심과 주변 농경지의 침수피해를 신속히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원주천댐이 단순한 홍수조절을 넘어 관광·여가 공간으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환경영향평가를 준수한 친환경 설계와 건설로 생태계를 최대한 보전하였으며, 댐 하류에 산책로, 풋살장, 애견 공원, 야외무대 등의 주민편의공간 조성을 통해 지역사회와 상생 기반을 확대할 계획이다.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기후위기에 따른 극한 호우에 대응하여 원주천댐이 지역 건의로 조성된 댐 제1호로서 지역사회의 안전한 생활환경을 위한 튼튼한 보호막이 되길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한국수자원공사는 댐이 홍수 등의 기후위기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보호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역 상생 발전의 교두보로 활용되도록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원주천댐은 사회적 의의 등이 큰 구조물에 수여하는 대한토목학회 주관 ‘2024 올해의 토목구조물’ 공모전에서 은상을 받은 구조물로 조성 이후 지역사회의 안전 확보뿐만 아니라, 댐 하류 공원을 통해 관광 활성화 등의 성과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