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소개최상의 물종합서비스 기업, K-water 소개입니다.

트위터 페이스북
K-water, 미래 물 관리 청사진 만든다 게시글의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작성내용을 보여줌
K-water, 미래 물 관리 청사진 만든다
조아라 2017-03-30 조회수 19143

첨부파일

K-water, 미래 물 관리 청사진 만든다
   - 오는 3. 31(금) 「미래 물 관리 전문가 세미나」개최
   - 물 관리 및 물 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 등 논의
   - 4차 산업혁명 대응 위한 물 산업 혁신 방안 등 제안

□ K-water(사장 이학수)는 2017. 3. 31(금) 15시, K-water 한강권역본부(경기도 과천시)에서 학계와 정부 관계자 등 물 관리 전문가와 함께 ‘미래 물 관리 전문가 세미나’를 개최한다.
□ 이번 세미나에서는 다가올 미래에 국내 물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논의와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물 산업 혁신 방안에 대한 전문가들의 다양한 견해가 제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세미나는 ‘물 관리 체계 개편’과 ‘물 산업 경쟁력 제고’를 주제로 각 주제에 따른 전문가 발표에 이어 정책담당자와 전문가의   토론 순으로 진행된다.
□ ‘물 관리 체계 개편’을 주제로 하는 1세션에서는,
 -원광대학교 류권홍 교수가 우리나라 ‘물관리기본법안’에 대한 제정 방향을 외국의 사례와 비교를 통해 발표하며
 -국토연구원 김종원 부원장은 홍수와 가뭄 관리, 안전한 용수  공급을 위한 통합적인 수자원 정책 방향을 발표한다.
□ ‘물 산업 경쟁력 제고’를 주제로 한 2세션에서는
 -한국형 물 산업 모델 구축을 위해 광주과학기술원(GIST) 김준하 교수가 싱가폴과 네덜란드의 물 산업 운영 사례를 비교하여 발표하고,
 -고려대학교 윤주환 교수는 ‘4차 산업혁명과 물 산업 혁신’을 발표해 다가오는 산업 트렌드 변화에 대한 혁신과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 그동안 국내외의 많은 물 전문가들은 물 관리 정책 및 집행기능 다원화에 따른 비효율의 개선과 물 관리체계 개편을 촉구해 왔다.
□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이수, 치수, 수질, 수생태계 및 지역 간 갈등 등 복잡해져 가는 물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범정부 차원의 새로운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 우리 물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도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Global Water Market 2017’ 자료에 따르면 세계 물 시장은
2016년 약 7,139억 달러(한화 약 795조원)에서 2020년에는 약 8,341억 달러(한화 약 930조원) 규모로 성장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에  비례해 기업 간 경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4차 산업혁명 대비를 위해서도 물 산업 혁신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 이학수 K-water 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국민들과 시대가 요구하고 있는 물 관리 혁신을 위해서는 정부를 비롯한 물 관련 기관과  
전문가 모두의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시기”라 강조하고, “그동안 각계에서 지속해서 제기해왔던 물 관련 문제와 이슈에 대해
학계를 비롯한 전문가와 함께 과학적인 근거에 기반을 두고 심도 있게 검토하여 국민의 눈높이에서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역할을 수행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홈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