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충청·영남·호남 지역 홍수기 다목적댐운영에 관해 궁금한 사항을 설명 드립니다.
최근 충청·영남·호남 지역 홍수기 다목적댐운영에 관해 궁금한 사항을 설명 드립니다. ◇ 댐 저수위를 홍수기 제한 수위 이하로 유지 ◇ 강수량, 댐상하류 영향, 댐안전 등을 고려 댐운영 □ 이번 기록적인 폭우로 수해 피해를 입으신 분들께 안타까운 마음을 표하며 빠른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 금년도는 6월 24일부터 사상 최장기간의 장마와 기록적인 폭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 한국수자원공사는 댐관리규정 등 관련 규정에 따라 홍수기 기간 중 기상변화와 댐 상·하류 상황, 댐안전, 민원 등을 고려하여 홍수 대응이 가능하도록 댐 수위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 지금부터 충청·영남·호남지역 홍수기 섬진강댐, 합천댐, 용담댐 운영현황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ㅇ (섬진강댐) 8.7~8.8 집중호우 전부터 홍수기제한수위보다 3m 낮게 댐 수위를 유지하여 사전에 116백만㎥*의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하였습니다. * 계획홍수위 : EL.197.7m, 홍수기제한수위 : EL.196.5m - (강우현황) 기상청에서는 8.7~8일까지 전북 100~200mm 많은곳 300mm이상 예보, 실제 강우는 유역평균 341mm, 최대 411mm(진안 도통)의 강우를 기록하였습니다. - (유입량) 유입설계홍수량(3,268㎥/초)을 초과한 초당 최대 3,534㎥(108%)이 댐으로 유입되었습니다. - (운영현황) 계획홍수위 초과 (EL.197.89m, 8.8 14:30)에도 불구하고 하류 상황을 고려 계획방류량(1,868㎥/초, 최대 유입홍수량의 53%) 수준으로 방류(8.8 11:30) 하였습니다. ㅇ (용담댐) 홍수기(6.21~) 이후 강수량은 1,216mm로 예년평균(534mm)의 2.3배 많은 강우가 내렸습니다. 7.30~8.6까지 초당 최대 300㎥ 범위로 방류하여 사전에 120백만㎥의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하였습니다. * 계획홍수위 : EL.265.5m, 홍수기제한수위 : EL.261.5m - (강우현황) 기상청에서는 8.7~8일까지 전북 100~200mm 많은곳 300mm이상 예보, 실제 강우는 유역평균 377.8mm, 최대 446mm(장수)의 강우를 기록하였습니다. - (유입량) 초당 최대 4,717㎥(유입설계홍수량 5,500㎥/초, 86%수준)이 댐으로 유입되었습니다. - (운영현황) 홍수조절을 위해 계획방류량(3,211㎥/초) 이내로 방류(최대 2,921㎥/초, 91%, 8.8 13:00) 하였습니다. ㅇ (합천댐) 8.7~8.8 집중호우 전부터 홍수기제한수위보다 0.8m 낮게 댐 수위를 유지하여 사전에 99백만㎥의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하였습니다. * 계획홍수위 : EL.179.0m, 홍수기제한수위 : EL.176.0m - (강우현황) 기상청은 8.7~8일까지 경남 50~100mm 많은곳 150mm 이상 예보, 실제 강우는 유역평균 304.2mm 최대 357mm(거창)의 강우를 기록하였습니다. - (유입량) 초당 최대 2,746㎥(유입설계홍수량 6,250㎥/초, 44%수준)이 댐으로 유입되었습니다. - (운영현황) 홍수조절을 위하여 계획방류량(6,200㎥/초) 이내로 방류(최대 2,677㎥/초, 43%, 8.8 15:30) 하였습니다. □ 마지막으로 향후 계획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ㅇ 정확한 원인 분석이 제대로 된 대책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ㅇ 지역의 홍수 방어는 댐과 하천이 분담하고 있고 홍수피해양상이 제방 붕괴와 월류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 되는 만큼 관련 기관 합동으로 면밀한 조사와 원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ㅇ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번 수해의 원인 분석 및 대책 수립에 적극 협조 할 예정입니다. ㅇ 유례없는 최장기간의 장마로 피해를 입으신 국민 여러분께 다시 한번 안타까움을 표하며 수해복구를 위한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020-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