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독자적 CDM사업 최초 탄소배출권 발급 성공
2008-08-01
기관소개최상의 물종합서비스 기업, K-water 소개입니다.
총 게시물 2,002 건
국내 독자적 CDM사업 최초 탄소배출권 발급 성공
K-water가 국내 Unilateral CDM(개발도상국이 독자적으로 사업을 시행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탄소배출권을 인정받아 다른 선진 의무감축국에 파는 청정개발체제)사업으로는 처음으로 탄소배출권(CER)을 발급 받았다. .... 후략(붙임 참조)
2008-08-01
초(超) 고유가 대응 에너지절약 대책(정부관계부처)
정부는 4.24일 “신고유가 시대의 에너지절약 대책”을 마련하였고, 6.7일에는 금년도 평균 국제유가 120불(두바이산 기준)을 상정하여 하반기 중 경제안정기조 전환을 골자로 한 “경제안정 종합대책”을 제시 ㅇ 아울러 국제유가(두바이산 기준) 150불 이상을 상회할 경우에 대비하여 단계별 위기관리계획(Contingency Plan)을 준비 중 ◈ 대책발표 이후에도 국제유가의 가파른 상승은 지속되고 있는 반면, ㅇ 우리의 에너지 총소비는 줄어들지 않고 있는 상황 ◈ 이에 정부는 초(超) 고유가 상황에 대비하여 준비한 단계별 위기관리계획 중 공공부문의 조치들을 앞당겨 시행할 계획 ㅇ 이를 통해 민간부문에 대해서도 자발적인 에너지절약 참여와 협조를 당부드릴 계획
2008-07-06
K-water, "건설현장 알파걸(Alpha Girl) 사랑하기"
2008년 7월 현재, K-water(사장직무대행 金祐求)의 여자 직원은 약 400명(전체 직원의 약 10%)이다. 이 중 전국 건설현장에서 맹활약을 펼치고 있는 여성 공사감독은 모두 124명이다. 이들 건설현장 알파걸(Alpha girl)들은 여성특유의 섬세함과 꼼꼼함을 바탕으로 K-water의 21세기 건설선진화를 주도하고 있다. 공사는 이처럼 여성 기술인들의 활동과 활약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시대적인 변화에 맞추어, 설문조사와 의견수렴을 거쳐, 이들 알파걸들에게 특별 제작한 여성용 안전장구와 근무복을 지급했다.
2008-07-04
[설명자료] KBS시청자칼럼 우리사는세상 "더덕 밭 영농보상" 관련
2008. 7. 3(목) KBS 시청자 칼럼 우리사는세상 “더덕 밭 영농보상” 보도와 관련, 보다 정확한 이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 드립니다. 1. 연천군 왕징면 강내리 199, 200, 201번지 일원에 식재된 더덕밭을 파헤친 사유에 대하여 o 군남홍수조절지 건설사업의 보상받은 토지에 대하여 사업구역 전구간의 경작금지 조치 일환으로 시행하였음. - 보상완료 토지상의 불법경작이 예상되며, 우기시 침수로 인한 손해배상 민원 발생 가능성 상존. - 보상완료 지역 대부분이 문화재 시?발굴 대상지역으로 계속 경작시 문화재 시?발굴 조사에 차질 우려. ※ 민원인(이현금) 보상비 지급액 : 359,536,300원 - 토지보상(‘06.11.28 ; 335,574,360원) - 영농보상(’08. 1. 3 ; 22,137,720원(8,422㎡), ’08. 2. 5 ; 1,824,220원(694㎡)) 2. 더덕에 대하여 작물별 영농보상을 하지 않은 사유에 대하여 o 구『 공공용지의 취득 및 손실보상에 관한 특례법』에서는 공공사업 시행지구 안에서 영농을 하는 농민에게 당해 공공사업 용지에 편입되는 농지에 대하여 실제로 재배하는 작물을 기준으로 2~3년간의 소득 또는 3기작의 소득을 영농손실액으로 지급하였으나, o 특정시점의 재배작물의 변경에 의하여 수시 변동되는 농업수입을 평균적인 농가의 수입에 의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취지와 한편으로 사업계획 발표를 전후하여 고소득 작물로 재배작물을 변경하는 부작용을 방지하고자 하는 정책적인 관점에서, o 현행『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시행일 : 2003. 1. 1)에서는 재배작물의 구분없이 도별연간 농가평균 농작물 수입을 기준으로 2년분을 영농손실액으로 지급토록 개정되어 더덕에 대하여 작물별 영농보상을 시행할 수 없었으며, o 댐의경우 담수전 농경지로서 이용이 가능하다면 농작물은 작물보상없이 계속 경작 후 수확을 하게되며, 민원인 더덕도 경작에 지장이 없었음으로 보상하지 아니하였음. 3. 향후 처리방안 o 민원인의 토지에 대하여는 2006년 11월 보상을 하였고, 식재된 더덕에 대하여는 2008. 1월 영농보상을 하였으나, ⅰ) 민원인 토지가 댐공사의 빠른 진척으로 침수우려가 있고, ⅱ) 금년8월 문화재 시.발굴 대상지역으로 o 토지의 사용으로 더덕 수확 전에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제41조 규정에 의거 감정평가기관의 농작물 평가를 거쳐 더덕에 대한 농작물 보상을 추진하고자 함. 붙 임 : 1. 관련규정 발췌 1부. 2. 최근 업무추진 내역 1부. 끝.
2008-07-04
한국하천정보시스템(K-river) 서비스 개시
□ K-water(한국수자원공사, 사장 직무대행 金祐求)가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국내 하천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남북한 하천 찾기, 물길여행, 테마지도, 게시판, 지도수정요청) 등을 서비스하는“한국하천정보시스템(K-river)”을 구축하고, 6월 26일 본격 서비스에 들어갔다. □ K-river 시스템의 URL은 http://river.kwater.or.kr/garam이며, 수자원공사 홈페이지나 naver, daum, yahoo, empas에서 검색과 접속이 가능하다.
2008-06-26
K-water, "중소기업 환경경영 지원 협약" 체결
K-water(사장대행 김우구)는 2008년 6월 26일 수도권지역본부(과천)에서 ISO 인증기관인 한국품질재단, 협력기업인 동아정밀공업사, 서광공업(주), (주)신정기공과 “중소기업 환경경영 지원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협력회사는 환경관리 역량 강화 및 시장 경쟁력이 강화되고, K-water는 협력회사로부터 고품질의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를 공급받게 되는 상호 Win-Win의 파트너십을 구축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2008-06-25
K-water와 GE 파낙(Fanuc)社, "IT분야 엔지니어링 사업을 위한 협약" 체결
K-water(사장대행 김우구)는 GE 파낙 인텔리전트 플랫폼스(GE Fanuc Intelligent Platforms)社와 “해외 물 산업 IT분야의 엔지니어링 사업을 위한 협약(MOU)”을 2008년 6월 25일 K-water 수도권지역본부에서 체결했다. K-water는 이번 MOU체결을 계기로 블루골드(Blue Gold)로 불리는 워터에너지 시대를 맞이하여 국제기술의 표준화를 주도하면서 이와 관련한 새로운 사업영역을 창출해 나가기 위한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08-06-24
수도권6단계광역상수도사업 준공
수도권6단계광역상수도사업 준공 관련한 국토해양부 보도자료입니다. 내용 : 수도권 6단계 광역상수도 건설사업이 12년간의 공사를 마치고 2008. 19(목) 준공되어 경기도 남양주tl, 양주tl, 의정부tl 등 수도권 20개 시에 하루 63만톤의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2008-06-18
콩고민주공화국과 전략적파트너십 체결
K-water는 6.11(화), 콩코민주공화국의 최대 광산기업인 GFI (George Forrest International Africa), 국제 투자회사인 ARK (Alfonso Rowemberg Korea), 코발트 제련기업인 메탈화학, 그리고 안산시와 공동으로 콩고민주공화국과 수자원-광물 연계 개발을 위한 패키지(package)형 해외사업을 위한 전략적파트너십(SPA)을 체결하는데, 이번 SPA는 범정부적 차원에서 추진 중인 자원개발 및 사회간접자본 지원 연계 ‘패키지형 자원개발 진출전략’에 적극 참여하기 위한 것으로, K-water는 상하수도와 댐 등의 개발 및 관리를 통해 물 관련 기술을 콩고민주공화국에 보급하고, 그 대가로 코발트 등의 광물을 우리기업이 수입하게 된다. 특히, 연간 3,000억원의 수요를 보이고 있는 코발트 등 광물자원의 안정적 공급원 확보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휴대폰, 노트북, 항공우주산업용 기자재, 초고층건물 건설용 자재 등 연관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우리 기업들이 많은 기대를 걸고 있다. K-water는 콩고민주공화국과의 package형 해외사업을 바탕으로 저개발국 물 관련 기술수출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2008-06-10
[행안부]지방상수도 광역화, 전문기관 관리
이 자료는 지방상수도의 원가절감과 비효율을 개선하여 깨끗하고 값싼 수돗물을 국민들에게 공급하기 위해, 2008. 5.29(목) 행정안전부(장관 원세훈)가 발표한 “지방상수도를 권역별로 광역화하여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방안” 관련한 보도자료입니다.
2008-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