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원적 녹조 관리 오염원 차단에 달려·
과학적 증거로 막연한 불안감 해소해야”
국내 최고 권위자들 한목소리
- 한국수자원공사, 9월 3일 녹조 극복 첫걸음 전문가 심포지엄 성료
- 인·질소 관리가 해법, 범정부적 공조로 한국형 대응 모델 만들 때
국내 최고 권위의 전문가들이 기후변화로 짙어지는 녹조를 근원적으로 관리하려면 오염원 차단으로 인과 질소를 통제하고, 이를 위한 범정부적 공조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또한, 녹조의 유해성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큰 만큼, 과학적 증거에 근거한 분석과 정책으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는 9월 3일 대전 본사 세종관 50주년 기념홀에서 국내 물환경 전문가 등과 함께 ‘자연에 대한 올바른 이해, 녹조 극복의 첫걸음’을 주제로 녹조 관리 전문가 심포지엄을 성료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민 관심이 큰 녹조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전하고 기후변화를 고려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생명공학과 환경공학, 생물학에 이르기까지 녹조 관련 국내 최고 권위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주제발표와 토론회를 펼치며 심도 있는 논의를 나눴다.
이날 전문가들은 녹조 해법의 승부처는 인과 질소 관리에 달렸으며, 이를 위해 오염원 차단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좌장을 맡은 최지용 서울대 교수는 “녹조 관리에 가장 근본적인 대책은 유역의 인과 질소 부하량의 저감”이라며, “하수처리장의 인 방류 기준을 강화하고 축산·농경지 등 비점오염원 관리가 핵심”이라고 제언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오희목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 또한 미국 이리호와 중국 태호 사례를 제시하며, “인의 근원적 제거가 첫째 목표지만 질소도 규제할 필요가 있다”라면서 기존보다 범위를 넓혀 관리할 것을 요구했다.
정세웅 충북대 교수도 “인과 질소 관리가 가장 근본 대책”이라며, “하천의 경우 방류수 수질 개선이 중요하고, 저수지 등 호소는 비점오염원을 적극 관리해야 한다”라고 언급했다.
이창하 서울대 교수는 “조류독소의 흡입에 대한 위해성은 크지 않고, 조류독소의 에어로졸화 노출 정도와 그로 인한 유해 정도는 아직 검증된 바 없어 지속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라면서, “수돗물 내 조류독소는 정수처리 과정에서 제거가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토론회에서 박준홍 연세대 교수는 “현 하수도 보급률 중심의 정책 목표를 미처리된 오·폐수 처리 규제로 전환해야 한다”라고 언급했으며, 김범철 강원대 교수는 “댐 상류 오염물질 유입 저감으로 인 발생량을 줄이는 대책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구체적 해법으로는 ▲ 범국가적 관리기관 구축 ▲ 민·관·산·학·연 공조를 통한 한국형 모델 수립 ▲ 수처리제 확대, 기후테크 활용 등이 제시됐다.
이원태 금오공과대 교수는 “녹조의 발생 원인은 일년내내 있어 가을·겨울에도 상시적 관리가 필요하다”라며, “축산 농가는 지역 수익 창출의 부분으로 오염원 예방을 위해 지자체의 협력이 요구된다”라면서 범국가적 관리기관 수립을 제시했다.
오희목 박사는 “국가 녹조 관리 비전을 제시할 시기인 만큼 민·관·산·학·연 공조로 한국형 모델을 수립하자”라고 제언했으며, 김범철 교수는 “녹조의 사전 예방과 퇴적층 내 인의 재용출 방지를 위해 수처리제의 적극적 사용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심층수 수온 차와 초음파, 수생식물 식재 등을 활용하고 AI 등 기후테크로 녹조 연구를 보다 세분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특히, 전문가들은 녹조 유해성 연구 결과를 국민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과학적 사실을 이해하도록 노력해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영철 충북대 교수는 “현재까지 녹조 발생 지역의 에어로졸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수준의 독소는 검출되지 않았다”라며, “다만 국민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권지향 건국대 교수는 “현재 조류 세포수로 유해성을 측정하는 데 불확실성을 고려해 색소농도 등 다른 방안 등도 고민해야 한다”라며, “전문가 협업으로 과학적 증거를 확보해 간다면 국민 신뢰를 얻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이번 전문가 심포지엄은 녹조에 대한 과학적 증거를 국민에게 전달하여 먹는 물 불안을 해소하고 기후변화 시대의 녹조 대응 방안을 점검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객관적 사실에 기초하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을 다하여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녹조 대응 방안을 마련해 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