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섬진강 디지털 트윈 유역 물관리 플랫폼 시범 구축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섬진강 디지털 트윈 유역 물관리 플랫폼 시범 구축
학술지명 한국방재학회 저자 박동순,김태민
발표일 2021-09-09

2020년 역대 최장장마(54일)와 집중호우로 광범위한 수재해 피해가 발생하였고, 치수의 중요성을 새롭게 일깨우는 촉매제가 되었다. 정책적으로는 물관리일원화에 이어 하천관리일원화까지 도입되는 전환점에 놓여있는 상황이다. 또한 그린 뉴딜과 디지털 뉴딜로 대변되는 한국판 뉴딜 사업이 본격 추진되면서 디지털 대전환 시대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극심한 홍수 피해를 겪은 섬진강 수계를 대상으로 디지털 트윈 유역 물관리 플랫폼을 국내 최초로 시범 추진하게 되었다(2021.04~12).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 댐·하천 연계 플랫폼을 섬진강 유역에 시범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고정밀 3D 공간정보화, 댐?유역 실시간 데이터 연계 모니터링, 댐-하천 연계 홍수 대응 시뮬레이션 분석 최적화, 사면 및 하천 제방 시범적 안전성 평가, 하천 제약사항 조사용 내풍?방수 드론 체계 도입, AI 지능형 CCTV 영상 분석, AI 데이터 지능화 분석 등을 구현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추진된 내용으로는 우선 디지털 트윈 플랫폼의 기반을 구현하기 위해 섬진강 수계 본류 하천 약 170 km에 대한 LiDAR 측량과 교량 시설물 79개소에 대한 드론 3D 모델링 및 트윈 탑재용 경량화를 완료하였다. 또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 상에 각종 지형 및 시설물 등을 3차원적으로 정밀 가시화하기 위한 UI 설계를 완료하였으며, 실시간 물관리 계측 데이터를 플랫폼 상에 동기화할 수 있도록 스마트 빅보드 시각화 및 데이터 연계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홍수 분석 모의를 위해서 섬진강 수계에 대한 고정밀 공간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순수 국산 개발 소프트웨어인 K-DRUM (강우유출해석), K-RIVER (하도수리해석), K-FLOOD (하천범람해석) 고도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인프라 안전 시범 적용을 위해서는 주요 취약부 제방에 대한 침투류해석과 사면안정해석 모듈에 대한 설계를 완료하였다. 이와함께 AI 댐 운영 최적화, 사면안전 분석용 AI 사면모델링, CCTV AI 지능형 영상분석, 하천 취약부 침수 위험 노모그래프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본 사업을 통해 댐과 하천을 아우르는 섬진강 유역의 스마트 댐운영과 수자원관리 효율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데이터 기반의 똑똑한 물관리로 수재해 경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