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전략
미래 핵심기술 개발 및 플랫폼 연계를 위한 빅데이터·인공지능(AI) 요소기술 연구
TabBar Menu
- 물관리 AX 전환을 위한 최신 AI기술 도입·활용 연구
- 딥러닝 활용 디지털 트윈 3D모델링 연구
- 거대언어모델(LLM) 활용 물관리 특화 Chat-Agent 개발 및 활용 연구
- 언어모델(NLP) 활용 기술정보(논문, 특허 등)분석을 통한 미래 유망 R&D 기술 예측 연구
- MLOps, Agentic AI의 물관리 적용 연구
- Physics-informed AI 기술 활용 예측모델 성능 제고를 위한 연구
< 디지털트윈 3D모델링 기술 연구 (사진 -> 취수탑 영상 생성) >
< 언어모델 활용 미래 유망 R&D 기술 예측 >
< MLOps, Agentic AI의 물관리 적용 연구 >
- AI 머신러닝 기반 물순환 예측 기술 연구
- 물관리 전(全)과정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표준 AI 모델 개발
- 장단기 용수수요 예측
- 취수원 수질(녹조, 망간 등) 예측
-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위한 AI 홍수예측
- 가상센서 활용 수도계량기함 동파 예측
- 정수장 소독부산물(THMs) 예측
< 가상센서 활용 동파 예측 >
- AI 기반 물관리 시설물 관리 기술 개발
- 컴퓨터비전(CV) 활용 안전관리
- 지능형 CCTV 시설/공정/근로자 안전관리
- 드론영상 분석 댐시설물 표면 결함검출 자동화
- CCTV 영상분석을 통한 하천수위, 수체탐지 및 범람인식
< 지능형 CCTV 안전관리 >
< CCTV 영상분석을 통한 하천수위, 범람인식 >
< 드론영상 분석 댐시설물 표면 결함검출 자동화 >
- AI 기반 정수장 자율운영 기술 개발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및 예측기반의 정수장 AI 운영 기술 개발
- 정수처리공정 자율운영 및 실시간 이상감지
- 공정 최적화를 통한 에너지 절감
- 설비 이상 징조 탐지 및 고장 사전 예측
- 생성형 AI(LLM)을 적용한 공정-근무자간 대화 기반 인터페이스
- 공정간 유기적 연계 최적 운영을 위한 강화학습 및 Multi-Agent 적용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