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국내 고도 정수처리 공정에서의 디에틸핵실프탈레이트(DEHP) 거동 및제거 특성 평가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국내 고도 정수처리 공정에서의 디에틸핵실프탈레이트(DEHP) 거동 및제거 특성 평가
학술지명 2021 대한환경공학회 국내학술대회 저자 채선하,전민정
발표일 2021-11-04

최근 플라스틱 가공 시 첨가되는 가소제의 사용량 증가로 인해, 수계 내로 용출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가소제로서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i(2-ethylhexyl) phthalate, DEHP)는
미국 환경보호국(USEPA)에서 발암유발물질로 지정되었으며, 국내에서는 21010년부터 DEHP의 먹는물 수질 기준을 80
μg/L 이하로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5개의 고도정수처리 시설을 선정하여, 취수하는 원수의 수계
및 고도정수처리 공정 구성에 따른 DEHP의 발생 및 거동을 각각 모니터링하였다. 2019년 7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총
8회 정수처리장 내 단위 공정별 처리수를 채취하였으며, 액-액 추출법을 통해 전처리한 시료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GC-MS)에 의해 정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시료의 DEHP 농도는 먹는물 수질기준 이하 범위인 0.2
μg/L~8.2 μg/L로 검출되었으며, 한강수계를 취수 원수로 이용하는 정수장의 DEHP 평균 유입 농도가 낙동강 수계를 취수
원수로 하는 정수장의 유입 원수 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도정수처리 공정에서의 DEHP
및 용존유기물의 평균 처리 효율은 고도산화공정(오존, UV)에서 활성탄 흡착 공정에 비해 높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