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물순환 건전화 평가 주요 인자의 적용성 고찰 |
---|
학술지명 한국스마트워터그리드학회 학술대회
저자 이상진,류경식
발표일 2020-11-06
|
우리나라의 도시지역에는 전체 인구의 약 92%가 거주하고 있으며, 도시로 유입되는 인구는 2005년 도시 거주 비율이 90%를 넘어선 이후 13년간 1.7% 증가하여 안정세에 접어들고 있으나 거주인구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화 현상으로 인해 도시지역의 불투수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지표면유출률 증가, 침투량 및 기저유량 감소, 지하수량의 저하, 도달시간 및 지체시간 감소, 증발산량의 왜곡, 지하수량 감소 등의 도시 물순환이 왜곡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시 물순환을 왜곡시키는 요인들을 관리하여 물순환 왜곡에서 오는 문제를 최소화하고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따라서, 도시 내에서의 자연계 및 인공계로 구분되는 물순환(강우-하천-정수-하수-재이용) 과정에서 인간에게 필요한 수요·공급 및 재해관리 그리고 수생태계의 건강성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도시의 물순환 건전화를 평가하는 주요 인자들을 선정하고 적용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