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스마트워터미터링 시스템 도입에 따른 경제성 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스마트워터미터링 시스템 도입에 따른 경제성 분석
학술지명 대한환경공학회 저자 최태호,이두진,김민철,김신영
발표일 2020-11-13

국·내외 스마트워터미터링 시스템 도입 사례를 검토한 결과 스마트워터미터링 시스템 도입 비용항목은  ① 스마트워터미터 구입 및 설치비 ② 통신료 ③ 요금관리 시스템 정비비 ④ 시스템 유지 보수비, 편익항목은 ① 기존 수도미터의 폐지, ② 검침업무의 감소, ③ 기존 요금관리시스템의 폐지, ④ 기존 요금관리시스템 유지 보수의 폐지, ⑤ 배수관망에서의 누수저감 효과 ⑥ 옥내누수저감 효과, ⑦ 누수조사저감 효과, ⑧ 정수장 규모 축소, ⑨ 배수지 규모의 축소 ⑩ 배수관망의 최적화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용편익 항목을 이용하여 S시 전체를 대상으로 B/C분석과 민감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B/C분석은 스마트워터미터링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전체비용(명목가치)은 106억 3,311만원이며, S시 전체 30,904개 수도계량기를 2020년에 스마트워터미터로 모두 교체한다고 가정(스마트미터 단가 17만원 가정)하였다. 8년간 발생 가능한 직접적 편익으로 인력검침 비용 저감 편익, 누수량으로 인한 손실비용 저감 편익, 누수량 감소에 따른 누수탐지 조사 등 사업 추진 저감 편익의 4가지로 산출 하였으며, 총 편익(명목가치)은 57억 4,108만원으로 산정하였다. 각 비용 및 편익에 대한 2020년 현재가치를 반영한 결과 B/C 0.45로 도출되었다.
할인율 4.5%를 기준으로 ±1.0%의 변화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 3.5%일 경우 B/C는 0.47, 5.5%일 경우 B/C는 0.43으로 변화하였고, 할인율은 4.5%로 고정하고 대당 스마트워터미터 단가를 감소시킬 경우의 민감도 분석 결과, 15만원일 경우 B/C는 0.48, 10만원 일 경우 B/C는 0.57로 상향되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