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의 구조, 기능, 환경반응 |
---|
학술지명 한국생태환경과학협의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저자 원남일
발표일 2020-10-22
|
수산물 생산량 감소, 산소 고갈, 산성화, 연안재해 등 복합적인 환경 스트레스에 의해 연안 및 해양생태계는 지구시스템에서 가장 우려되는 생태계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연안 지역은 다양한 인공적 영향과 자연적 변동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스트레스 요인에 의해 가장 취약한 지역 중 하나로 인식되어 왔다. 생태계 복원력은 지속 가능한 지구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대상 생태계의 복원력이나 변화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생태계 기능과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중요하다. 해양수산자원은 지구시스템의 장기변화 및 생태계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장기데이터로서 의미가 깊으며, 해양의 기후변화와 장기적인 남획과 같은 인간 활동의 영향에 대한 증거로서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런 연구의 대부분은 주로 어류자원에 대해 이루어졌으며, 저서생물에 대한 연구는 미흡했다. 이는 연구대상 저서생물의 생활사 및 생태적 지위에 관한 연구에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으며, 장기적인 자료의 축적이 곤란한 것이 주요한 원인이었다. 전복류는 전 세계적으로 주요한 해양생물자원으로 해양고고학에서부터 분자생물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연구대상이 되어 왔으며, 최근 생산량 급감 및 질병발생 등으로 인해 멸종위기종에 이를 정도로 천연서식지에서의 현존량이 감소해왔다. 전 세계적으로 감소된 자원회복을 위해 인공생산종묘방류 및 자연개체군의 유지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 오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전복종에 대한 개체발생 및 생태계 특성 연구를 통해 밝혀진 생태계 특성 연구의 단면 및 자연재해로 인한 서식지의 파괴와 개체군 및 생태계 복원의 과정을 소개함으로, 생태계 및 생태계 모델링 연구에서 개체군 생활사 연구 및 생태계 구조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최신 연구로서 인공기질을 활용한 생활사기반의 생태계 복원을 위한 새로운 시도를 소개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