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정부 新남방·新북방 정책과 한-메콩 물관리연구센터 소개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정부 新남방·新북방 정책과 한-메콩 물관리연구센터 소개
학술지명 한국수자원학회 저자 박진혁,박상영,조영현,안윤호,최소담
발표일 2020-09-21

지금까지 한국은 4강(미.중.러.일) 중심의 교역을 기반으로 한 경제체제를 유지해왔으나, 최근 미·중 통상분쟁, 리쇼어링(Reshoring, 해외 진출 기업의 생산시설 국내 복귀) 현상으로 인해 한국의 대외수출 규모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시장을 다변화하고 경제 영역을 넓히고자 대외정책으로 신남방·신북방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정책은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신남방, 신북방 국가들과 경제·문화·인적교류 등 다방면의 협력을 맺는 것으로 수자원 분야의 협력 또한 그중 하나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정부의 물관리 국제협력 확대방안이 논의되었고 기존 한-메콩 외교장관급 회의가 2019년 한·메콩 정상회의로 격상되면서 당 회의에서 채택된 메콩강 선언문을 근거로 한-메콩 물관리연구센터가 K-water에 설립되었다. 메콩강 선언문에는 메콩 유역 국가들의 지속 가능한 통합수자원 관리를 도모하고, 유역의 현안 해결을 위한 공동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한-메콩 물관리연구센터를 한국에 설립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메콩 4개국(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으로 구성된 메콩위원회와 MOU를 맺었으며, 미얀마와는 MOA를 체결하는 등 현재까지 메콩지역 5개국과 중국, 러시아 등 동북아 지역 3개국, 중앙아 지역 1개국 등 총 10개 국가 21개 연구기관과 긴밀한 연구협력 관계를 맺어오고 있다. 또한, VIP직속 신남방특별위원회, 외교부, 환경부 등 정부 유관부처, 학계 및 산업계와의 네트워크를 활용한 연구개발 및 기술협력 플랫폼으로서의 기반을 구축 중에 있다. 본 고에서는 정부의 신남방 및 신북방 정책과 올해 개설된 한-메콩 물관리연구센터의 현황 및 업무계획을 소개하고자 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