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지역 맞춤형 녹조기술 적용성 평가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지역 맞춤형 녹조기술 적용성 평가
학술지명 대한상하수도학회 저자 이희숙,박연정,이혜숙,이영주,이현미,김경민,김수
발표일 2020-06-25

상수원수에서 대발생하는 유해남조류로 인한 남조류 독소 및 이·취미물질의 처리를 위하여 고도정수처리공정이 필요하고 처리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수체의 만곡부나 정체구역의 유해남조류 대발생으로 인한 수중 산소 고갈 및 pH 증가 등의 생태학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원수에 가동하는 녹조제어장치와 조류 대발생이 빈번히 발생하는 정체된 수역의 녹조제어장치에 대한 녹조관리 기술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상수원수에 운영되는 녹조제어장치에 대하여 대조군 5지점 및 실험군 5지점 총 10지점을 선정하여 주1~2회, 총 12회 조사(2019.7 ~ 2019.10)를 실시하였다. 수체의 정체구역 설치된 녹조제어장치는 5월~8월 중 가동 유·무에 따라 조사 횟수를 달리하였으며, 수심 및 가동 반경에 따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은 현장측정 항목(수온, 용존산소, pH, 전기전도도 및 탁도), BOD, TOC, 용존산소, Chl-a, 총질소, 총인 및 조류개체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하절기에는 유해남조류인 Microcystis속이 대부분 우점하였으며, 상수원수에 설치된 조류제어장치의 처리 전을 기준으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의 Chl-a, 총조류개체수 및 총유해남조류 개체수 중 총유해남조류 개체수가 설치 10일 이후 그룹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효과가 있었다(p<0.05). 정체수역에 설치된 녹조제어장치의 경우 가동 전을 기준으로 가동 후를 조사한 결과 수심별로는 5m까지 지점별 차이를 보였고, 수중형 연속 조류 측정 결과 영향반경은 15m 이내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결과를 통해 지역 맞춤형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효과분석 시 조류 종별 혹은 분류군별 분석, 수중형 연속 조류 측정 등을 활용한 수심별 정밀 분석 등을 통해 현장유형에 맞는 제어 방법을 선택 활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