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수질 참조표준 데이터를 활용한 냄새물질 발생 예측모델 개발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수질 참조표준 데이터를 활용한 냄새물질 발생 예측모델 개발
학술지명 한국분석과학회 저자 이선홍,이은정,최원석,최재원,김윤석
발표일 2019-05-16

수질 참조표준은 측정 데이터 및 수질 정보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과학적으로 분석·평가하여 공인한 데이터로 삶의 질 및 물복지 향상을 위해 널리 사용토록 한 데이터이다. 수질데이터는 전국 광역 13개 상수원수에서 조류와 방선균에 의해 냄새를 유발하는 Geosmin과 2-methylisoborneol(2-MIB)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ME-GC-MS 분석법을 활용하였으며, 3년간 매월 측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계열 분석을 통한 예측모형을 수립 후 최근 1년의 데이터를 검증에 활용하였다. 평활법(smoothing method)을 이용하여 시계열 자료가 내포하는 불규칙한 변동을 완화하였고, 시계열 요소 분해법(퓨리에 변환)을 통해 데이터의 경향 및 반복 주기를 분석하였다. 13개 광역정수장의 원수에서의 geosmin과 2-MIB는 각각 지점별 0.1-4.7 ng/L와 0.1-6.5 ng/L의 범위로 조사되었다. 예측모델을 활용하여 전체 데이터의 예측력을 검토한 결과 약 65%의 데이터가 95% 신뢰구간 내에 포함되었다. 현재 개발된 모델에 의하면 60~70% 수준의 데이터가 부합되며, 단기간의 분석자료를 활용한 예측 모델은 그 정확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참조표준 데이터를 활용한 예측 모델의 개발은 다년간의 추가 측정 또는 매년 냄새물질 발생 수준을 bootstrapping 기법을 사용하여 냄새물질 발생 모의 기법을 통한 예측모델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