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자형상분석기를 활용한 조류 자동 모니터링 연구
김혜인†?유지수?오은정?박정수
K-water융합연구원 수질연구센터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조류 이슈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신속한 조류 분석에 한계가 있는 기존의 현미경계수법 대신 입자형상분석기(Flowcam)를 활용한 즉각적인 조류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Ⅰ. 서 론
현미경 계수에 의한 조류분석은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 시료에 따라서 조류 고정, 농축 등의 전처리 시간을 필요로 하는 등 즉각적인 조류발생 이슈 대응에 한계가 있다. 지속되는 조류 이슈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보다 객관적이고 신속한 조류분석이 필요하다.
입자형상분석기는 실시간으로 시료가 포함한 입자성 물질을 인식하고 이미지 파일로 촬영하는 장치로 분석방법이 간결하고 측정결과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조류 분석기법 개발을 위하여 자동입자형상 분석기를 활용한 조류 모니터링 및 그 결과의 유의성 검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Ⅱ. 연구방법
입자형상분석기를 통해 얻어진 조류의 이미지 자료를 수집하고 조류 종별로 분류를 함으로써 정성분석을 위한 학습 자료인 조류 종별 라이브러리를 구축한 이후에 라이브러리에 속해있는 조류 이미지들의 기하학적 특성에 맞는 필터를 생성한다. 필터에 의한 분류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필터 개선 및 보완을 지속하여 필터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Ⅲ. 결과 및 고찰
본 연구에서는 특정 조류의 라이브러리 및 분류 필터를 구축하여 목표 조류의 분류 성능을 검토하였다. 동일한 종의 조류일지라도 기하학적 특성이 매우 다양함에 따라 필터의 일괄적용 시 분석 정확도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필터 구성의 세분화 등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더불어 조류 분석의 정량화를 위한 조류 분석 알고리즘 개발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