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매트를 이용한 평강천 수질개선 실증연구 |
---|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이선주,김병군,김동섭,이영주,김홍석,백인찬,박민욱,김호준,유기경
발표일 2019-02-21
|
본 연구는 하천수(평강천)의 수질을 친환경적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선 가능성을 검토하고, 그 효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효율의 검증은 평강천 인근의 부지에 폭 3m, 길이 80m의 실증수로를 설치하고, 유입유량 500㎥/day, 수심 3∼4cm로 운영하였다. 조사는 8월부터 10월까지 유입 및 유출수에 대한 총인, 용존인, 총질소, 암모니아성질소 및 질산성질소를 측정하였으며, 조류의 생체량, 생산량 및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3개월간의 효율분석 결과는 총인이 평균 15.6(39.0∼2.0)%, 용존인이 11.6(42.0∼-39.0)%, 총질소가 23.3(58.4∼2.7)%, 암모니아성질소가 12.4(31.5∼-12.1)% 그리고 질산성질소가 22.9(40.1∼-10.3)%로 조사되었다. 조류매트 내에서 부착 서식하는 사상성조류의 성분구성비 C : N : P : Chl.a가 100 : 16.6 : 1.37 : 0.126의 비로 나타났다. 부착 서식하는 조류는 일반부착조류가 16.7mgChl.a/㎡, 사상성조류의 부착조류가 2390.4mgChl.a/㎡로 약 140배의 차이를 보였다. 부착조류의 일차생산력(광합성)은 사상성조류가 광량 약 300uE/㎡/s이상의 광도에서 0.26∼0.32 mgC/mgChl.a/㎡/h로 측정되었으며, 일반적인 부착조류의 4배정도 생산력이 높게 측정되었다. 본 실증실험은 운영 초기의 결과로서 정상상태의 결과로 보기는 어려운 점이 있으므로 향 후 보다 장기적인 연구를 통하여 하천수질의 수질개선 가능성 및 효율이 평가되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