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터] 토지피복 분류에 따른 한반도 수문인자 산출정확도 분석 |
---|
학술지명 대한토목학회
저자 박광하
발표일 2018-10-18
|
미항공우주국(NASA)의 LIS(Land Information System)는 Noah, VIC, Catchment, CLM 등 여러 지표면 모델과 자료동화를 하나의 프레임워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시스템이다. GLDAS(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는 NASA- LIS를 활용하여 전지구 범위의 25 km 공간해상도의 수문인자 DB를 3시간 주기로 생산하여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산악 지형이 많고 복잡한 지형을 가지는 한반도에 25 km의 GLDAS 수문인자를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한반도의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고 중소규모의 유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1km 내의 공간해상도를 가지는 수문인자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NASA-LIS를 활용하여 한반도의 1km 공간해상도의 수문인자를 산출하기 위해 UMD(University of Maryland) 토지피복도와 IGBP (International Geosphere?Biosphere Programme) 토지피복도를 각각 적용하고 이를 지상관측자료와 검증하여 한반도에 적합한 토지피복도를 선정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