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막여과 정수장 망간제어를 위한 과망간산염 적용성 평가 결과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막여과 정수장 망간제어를 위한 과망간산염 적용성 평가 결과
학술지명 대한환경공학회 저자 이영주,김병군,김동섭,김홍석,김병우,허영택,정은재,이정택,이한나,소성광
발표일 2018-11-15

호소수를 수원으로 하는 정수장의 경우 봄, 가을 전도현상 발생시 고농도의 망간이 원수 중에 검출되거나,
최근 장기 가뭄으로 인한 저층 취수로 인해 고농도의 망간이 원수 중에 존재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기존에 경험하지 못했던 고농도 망간이 원수 중에 유입되거나 막여과 정수장과 같이 망간 제어 공정이
없는 시설의 경우 처리되지 않은 망간 유출로 인해 많은 민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망간제거
공정은 산화제를 이용한 망간 산화 후 여과지에서 흡착 제거하는 두 가지 메커니즘으로 운영되어 왔다. 산화
제로는 염소 및 오존이 사용되고 있으나 오존의 경우에는 고도정수처리 시설에 제한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표준처리나 막여과 정수장에서는 염소 단독 사용으로 망간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산화염소도
산화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나 최대 주입 가능 농도가 1 mg/L로 제한적일 뿐 아니라, 이산화염소를 전산화제로
사용시 후염소와 반응하여 수돗물에서 냄새 민원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이 외 2017년 수처리제
의 기준과 규격 및 표시기준 개정(환경부 고시 제2017-116호, 2017.06.15.)으로 과망간산나트륨이 수처리제로
등록되면서 망간 산화제 종류가 추가되었다. 과망간산염은 이론적으로 원수 pH나 접촉시간의 제약이 거의 없
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매력적인 수처리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규 수처리제로 등록된 과망간산나트
륨의 막여과 정수장 또는 비상시 수처리제로서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모형플랜트를 운영하였으며, 염소를
기반으로 한 망간사 여과지와의 비교 평가도 수행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