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포스터] 낙동강 본류 4개보에서 부유물질 침강에 관한 연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포스터] 낙동강 본류 4개보에서 부유물질 침강에 관한 연구
학술지명 한국수자원학회 저자 최광순,한규성,권보민,이재순
발표일 2018-05-24

본 연구는 보 구간에서 조류와 조류 발생원인 물질의 거동해석 및 조류예측모델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부유물질의 침강량과 침강속도를 조사하였다. 낙동강 수계 4개보(달성보, 강정고령보, 합천창녕보, 창

녕함안보)를 대상으로 2017년 6월, 7월, 11월, 12월에 조사하였으며, Sediment trap을 이용하여 포집한 침강물

질에 대해 seston, POC, PON, POP, Chl-a, Pheo-a의 침강량, 침강속도 및 물질의 함량비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낙동강수계 4개보 지점에서 seston, POC, PON, POP, Chl-a, Pheo-a 의 침강량은 각각 322.7∼

58,011.5㎎/㎡/day, 33.8∼1,127.2㎎/㎡/day , 4.2∼150.6㎎/㎡/day, 0.667∼10.634㎎/㎡/day , 0.3∼18.7 ㎎/㎡/day,

0.3~14.7 ㎎/㎡/day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seston, POC, PN, PP, Chl-a의 침강속도는 각각 0.02∼1.46m/day ,

0.02∼1.36m/day , 0.03∼3.18m/day, 0.01∼1.18m/day , 0.02∼0.60 m/day의 범위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4개

보 지점의 평균 침강속도는 seston 0.94m/day, POC 0.44m/day, PON 0.52m/day, POP 0.21m/day, Chl-a

0.22m/day로 보 건설 전인 2004년도 낙동강 본류 지점에서의 침강속도(seston 14.54 m/day, POC

18.32m/day, PON 1.64m/day, POP 5.96m/day, Chl-a 0.29m/day)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활성을

잃은 식물플랑크톤을 나타내는 Pheo-a의 농도와 살아있는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의 지표 Chl-a의 농도 비교

결과 죽거나 활성을 잃은 식물플랑크톤의 양이 평균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4개 보 지

점의 Sediment trap 포집된 침강물 내 C:N비는 2.0∼7.4 범위로, N;P비는 14.2∼52.5 범위로, C/Chl-a비는

14.4∼253.3의 범위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조류의 C/Chl-a 비가 40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조사된 보 지점

에서의 침강물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기물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류의 침강속도는 조류

의 종을 구분하지 않은 총 조류에 대한 것으로, 향후 보 구간에서 종 조성을 고려한 조류예측 모델을 향상시

키기 위해서는 조류 종별에 대한 침강속도에 대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