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4대강 수계 16개 보를 대상으로 보별 오염물질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한 수질관리를 목적
으로 미공병단에서 개발된 CE-QUAL-W2 모형을 이용하여 보별 유기물(BOD, TOC), 영양염류(TN, TP), 조
류생체량(ALG)에 대한 물질수지를 분석하였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설정하여 각 보 구간
에서 상류 보, 지류, 하수종말처리장의 유입부하를 입력조건으로 구성하였으며, 검증된 모델 입력자료 및 출
력자료를 바탕으로 각 수질항목에 대한 유입 및 유출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월별 및 연간 오염물질의 증
감 양을 비교 분석하여 보 구간에서 오염물질의 생산 및 소멸 여부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오
염물질의 증감 양은 수계 및 보별, 월별 및 연도별, 그리고 수질항목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5년간
평균 수계별 보 구간으로 유입부하량, 유출부하량에 대한 증감율을 보면 한강수계 3개보의 경우 BOD는 -5.4
∼ 3.1%, TN은 -3.9∼1.1%, TP는 ?6.9∼-0.9%, TOC는 ?8.1∼-2.1%, ALG는 14.4∼30.8%를 나타내었으며,
낙동강수계 8개보의 BOD는 ?10.3∼10.6%, TN은 ?12.2∼11.4%, TP는 ?14.9∼21.6%, TOC는 ?16.6∼
2.3%, ALG는 ?29.5∼30.1%, 금강수계 3개보의 BOD는 ?1.6∼ -0.5%, TN은 ?2.6∼-0.9%, TP는 ?6.6∼
-3.9%, TOC는 ?5.4∼-4.9%, ALG는 3.5∼21.5%, 영산강수계 2개보의 BOD는 ?0.4∼3.1%, TN은 0.6∼2.0%,
TP는 ?9.8∼-0.9%, TOC는 ?11.4∼?10.3%, ALG는 30.3∼36.5%로 전반적으로 낙동강수계의 BOD와 TP,
영산강수계의 BOD와 TN을 제외한 오염물질이 보 구간 내에서 침전, 분해 등에 의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조류생체량은 낙동강의 낙단보와 구미보를 제외한 보 구간 내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금강과 영산강
은 하류로 갈수록 조류생체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