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포스터] 유역특성을 고려한 지자체 홍수대응기준 수립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포스터] 유역특성을 고려한 지자체 홍수대응기준 수립
학술지명 대한토목학회 저자 최현구,류종현,박병우,김창순
발표일 2018-10-18

최근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집중 호우, 가뭄 등 기상 이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물관리의 불확실성과 복잡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대규모 하천의 경우 다목적댐과 다기능보를 이용하여 홍수 및 가뭄에 대응이 비교적 용이하나, 중소하천의 경우 하천의 경사가 급하고 하천길이가 짧아 홍수파의 이동시간이 짧기 때문에 홍수대비를 위한 시간이 매우 짧다. 또한 중소하천 관리를 담당하는 지자체는 열악한 재정 연건으로 인해 예방보다 사후복구에 집중하는 상황으로, 최근 하천 고수부지의 공간적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홍수발생시 위험성도 증가하고 있어 예방 및 대응 중심의 홍수대응기준 수립이 시급하다. 이에 K-water는 공익사업의 일환으로 K-water의 홍수 및 하천관리 노하우를 지자체와 공유하고 있다. ICT 인프라를 이용하여 유관기간의 실시간 수문자료를 공유하고, 수집된 실시간 수문자료를 활용하여 홍수분석 및 홍수대응 기준을 수립하는 등 지자체의 예방적 재난대응 체계를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는 A지자체를 대상으로 유역특성을 고려하여 홍수대응기준을 수립하였으며, 예비 경보 기준으로 우량기준을 작성하고, 직접 경보 기준인 하천 수위국 지점의 수위기준을 작성하여 선제적으로 지자체 홍수대응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였다. 향후 본 연구로 산정된 홍수대응기준은 지속적으로 보완되어야 하며, 실시간 수문자료 공유체계 확대, 재해관련 유관기관과의 유기적인 기술교류 등을 통해 지자체 및 중소하천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능동적이고 선제적인 홍수대응 체계 구축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