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터] 수지상식 관망지역의 잔류염소 취약성 해소를 위한 적정 관리방안에 대한 고찰 |
---|
학술지명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2018년 공동학술발표회
저자 최민아,이두진,김주환,최태호
발표일 2018-03-22
|
우리나라의 배수관망 배치는 크게 격자식과 수지상식으로 나뉜다. 격자식 배수관망의 경우 인구밀도가 높고 물 사용량이 많은 도시지역에 주로 배치되며 블록단위 관망구성에 따라 공급과정 중 수질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영향범위가 수지상식에 비해 국소적이다. 이에 반해 수지상식 배수관망의 경우 지방상수도 확대보급이 진행 중인 농어촌 지역에 주로 배치되어 있고 지역적 특성상 수돗물과 함께 마을상수도, 지하수를 혼합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해 수돗물 사용량이 감소하고 관 말단에 물이 정체하는 등 배수구역 내 체류시간을 증가하게 하여 공급과정의 수질 악화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공급과정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격자식 배수관망의 경우 시공간적 잔류염소 균등화를 통한 개선방안이 바람직하며 수지상식 배수관망은 잔류염소 균등화 시행에 앞서 수질 문제가 발생한 지역을 대상으로 수질 취약성을 해소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수지상식 관망형태를 지니고 있는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배?급수구역 내 잔류염소 관리 상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이에 대한 적절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