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tinel-2와 RapidEye위성의 Red Edge밴드를 활용한 담수역 클로로필-a 농도 추정 |
---|
학술지명 국토지리학회지
저자 박성욱,이수진,윤예슬,신대윤,박상영,이양원
발표일 2018-09-01
|
기후변동으로 인한 폭염 및 가뭄과 함께 우리나라 하천의 보를 설치한 곳 주변에 녹조(algal bloom)현상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녹조 분석의 지표로는 주로 클로로필-a농도가 사용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클로로필-a농도 추정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우리나라 4대강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하여 현존 방법론들의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Sentinel-2와 RapidEye 영상을 4종류의 현존 모델에 적용한 결과, 특히 Red Edge밴드를 활용하는 M09, M12모델은 RapidEye영상 사용시 실측치와의 상관계수가 0.934, 0.936으로서 매우 양호한 추정치를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실험을 통해 우리나라 하천의 클로로필-a 농도 추정에 고해상도 위성영상이 충분히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RapidEye와 동일한 센서 제원을 가진 농림업 중형위성이 2022년 발사되면, 실시간 녹조 모니터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을 사료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