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HF-radar로 관측된 유속저감시설 설치 전·후 시화호조력발전소 근해역의 표층유동 특성변화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HF-radar로 관측된 유속저감시설 설치 전·후 시화호조력발전소 근해역의 표층유동 특성변화
학술지명 2017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저자 권효근,장태현,박창준,허선
발표일 2017-04-19

경기도 안산시 시화호 방조제에 위치한 시화호조력발전소는 창조식 단류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국내 최초 세계 최대의 조력발전소이다. 조력발전소 운영 시 수차와 수문으로 유·출입하는 통수량이 시화호 체적의 50%에 달하여 시화호 내·외측의 해양환경변화요인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호측으로는 해수유통으로 인해 수질상태가 호전되고 시화호 생태계 복원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해측으로는 설계시보다 과도한 배수유속으로 인해 시화호조력발전소 전면에서 1.7km 떨어져 있는 제 3항로의 통항안전성 및 국가기반시설(LNG터미널, 인천신항) 주변해역의 침·퇴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K-water에서는 조력발전소 전면 해역에 위치한 LNG기지, 제 3항로, 인천신항을 통항하는 선박들의 안전 확보와 해양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2016년 8월에 시화호조력발전소 전면 약 600 m지점에 T.T.P를 이용하여 폭 35m 길이 150m의 투과성 구조물 형태의 유속저감시설(수중잠제) 1단계를 완공하였다. 
 투과성 수중잠제의 유속 저감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2015년부터 운영 중인 해양관측관측부이와 해양레이더에서 관측된 유속자료를 분석하였다. 최강유속의 경우 영향저감시설 설치 전 유속(2.54㎧)에 비해 대폭 저감(1.39㎧)되었으며 배수시 발생하는 제 3항로 부근의 소규모 와류의 변동과 공간유속분포의 변동이 발생하였다. 또한 조류분석 결과 조력발전소 전면해역에서 주요 분조의 진폭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나 시화호조력발전소 전면해역에 뚜렷한 유속저감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향후 지속적인 HF-radar관측으로 국내 최초로 시도된 유속저감을 위한 수중잠제의 효과에 대해 객관적인 자료수집 및 과학적 분석을 통해 유사한 문제 해결에 기초자료로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