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터]Flux changes in submerged soils of the water environment changes |
---|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이승윤,이혜숙,정선아,최광순
발표일 2017-10-18
|
본 연구는 신규댐 담수시 수몰지내에 잔존하는 각종 유기물질이 담수 초기 수질악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 신규댐 담수시 수몰지 토양의 수질에의 영향을 파악하기 의한 연구의 일환으로 실시 되었으며, 수몰지 토지이용현황별 용출특성변화를 호기 및 혐기조건하에서 장기간에 걸쳐 관찰하였다. 담수 전·후의 수질을 예측하기 위하여 Lab scale로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댐 수몰지역의 토양을 지목별로(논, 대지, 하천, 전, 임야, 복합) 채취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은 아크릴제 Column을 제작하여 댐 내의 초기 담수상황을 재현하고, 수체의 DO농도조건을 호기 및 혐기조건으로 나누어 약 30일 동안 수질변화를 측정했다. 수질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분석항목은 수온, DO, pH, Cond. 등의 기초수질항목과 COD, T-N, T-P 등의 수질오염지표 항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용출실험결과, 호기조건보다 혐기조건에서 COD, T-N, T-P 용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 임야에서는 COD, T-N이 많이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나, 호기조건보다 저농도(혐기)조건에서의 수몰지토양으로부터의 수질오염 유발물질 용출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중금속 용출시험 등 보다 면밀한 연구조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