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지역 계류(부소천)의 수질과 부착조류 생물량에 온배수와 수소이온농도(pH) 영향 |
---|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신재기
발표일 2017-03-31
|
온배수와 산성화는 오래 전부터 전 세계를 통해 육수학과 수생태학에서 많은 관심을 갖게 한 분야이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초보적이거나 접근 조차 미진한 실정에 있다. 본 연구는 2015년 12월부터 2016년 9월까지 경기도 포천에 위치한 계류(부소천)의 최상류 구간 5개 지점(BSU(상류), HSW(온천폐수 방류구), BSD1~3(하류))에서 수질환경과 부착조류 생태계에 온배수와 산성비의 시공간적 영향을 파악하고자 매월 조사하였다. 조사기간동안 수온의 범위(평균값)는 1.7~28.8℃(15.0℃)이었다. 특히 HSW의 범위와 평균값은 17.5(1월)~28.8℃(9월), 24.2±3.7℃로써 고온을 유지하였고, 다른 지점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온배수는 하천수의 수온 증가와 영양염 펄스로써 작용하였으며, 그 영향은 갈수기와 저온기(12월~3월)에 우세하였다. 그리고 온도의 영향권은 유하 거리에 따라 멀지 않았으나, P·N 영양염은 다소 원거리까지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었다. pH는 5.1~8.4(6.9)이었다. 수중 pH 감소의 원인은 계절적으로 강설과 산성비의 습윤 산성강하물에 있었고, 그 영향은 부착 규조류 중 호산성 종조성(Eunotia pectinalis, Tabellaria flocculosa)의 생물학적 분포에서 간헐적(3월과 8월)으로 확인되었다. 부소천의 수질과 부착조류 생태계는 열 오염, 부영양화 및 산성화에 의한 역동적인 상태이었고, 계류, 온배수 및 대기오염과 같은 지리·지역적 특성에 기반 한 인위적 영향이 지배적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