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터]Analysis of water quality changes of Boreyong Reservoir by operation of Geum River-Boreyong Dam diversion tunnel |
---|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정선아,김호준,이혜숙,최광순,이승윤
발표일 2017-10-18
|
본 연구는 충남 서부 지역의 반복되는 극심한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금강-보령도수로 운영시 보령댐내 수질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가동 전후의 수질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가동전 10년간(2006~2015) 및 가동후 2017년도 환경부 물환경측정망 지점별 수질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금강 유입원수의 댐 내 거동과 수질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수질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과거 가동전 수질측정 자료와 비교분석 결과 4~5월은 전항목(영양염류, chl-a, 남조류세포수)에서 농도 증가 경향이 뚜렷하였으나 6월은 chl-a와 남조류세포수 항목에서 감소하였다. 공간적으로는 웅천천 유입부인 보령댐 3지점에서 농도 증가율이 가장 컸다. 추적자 분석을 통해 보령댐 내 취수지점에서 금강원수의 혼합비율을 산정한 결과 6월에 54%의 물이 금강원수로 구성되어 혼합비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이후 보령댐 자체 유입량 증가로 금강원수 혼합비율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수질모델링을 이용한 도수로 가동 유무에 따른 조류농도를 비교한 결과, 도수로 가동시 T-P의 증가범위는 26.1~42.4% 였으나 조류생체량은 11.5~25.8%의 범위로 증가하여 영양염 증가 수준에 비해 다소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도수로 가동으로 인한 영양염 및 유기물의 유입은 조류성장에 유리한 조건을 형성하였으나, 유출입량 증가로 체류시간이 감소하여 chl-a의 농도증가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