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터]태양광물순환설비, 정체수역순환설비 및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조류 제거 효율 분석 연구 |
---|
학술지명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저자 이희숙,박연정,반양진,남세희
발표일 2017-04-21
|
본 연구에서는 녹조저감설비 중 태양광물순환설비, 정체수역순환설비 및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하여 녹조제어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한가지 장치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함께 사용하였을 때, 더 높은 효율을 보였다. 조류는 1차 생산자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남조류의 대발생시 Geosmin과 2-MIB와 같은 맛?냄새를 유발하고 Microcystins, Anatoxin, Saxitoxins 등의 독소를 발생시켜 생태적인 영향 뿐 아니라 사회 경제적인 문제까지 야기시킨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리적 기술, 화학적 기술, 생물학적 기술 등 여러 제어기술을 개발하여 노력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물순환설비, 정체수역순환설비 및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하여 녹조 제어 효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5년 7월 6일부터 8월 24일까지 유형별, 수계별, 장치별로 대표시설을 선정하여 2∼5회 실험을 수행하였다. 태양광 물순환설비, 산기식물순환설비는 한강의 강천보, 낙동강의 상주보, 강정고령보 그리고 영산강의 승촌보에 설치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장치를 중심으로 상류 100 m를 대조구로 선정하고 현장 상황에 맞게 간격을 설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층의 Chl-a, 총조류 및 남조류 개체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태양광물순환설비는 설치 위치 및 구간별 남조류 저감 효과가 다양하였으며, 성층 변화 등을 고려하였을 때 반경 30m 이상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정체수역순환설비를 동시에 사용하였을 때 50m 이상의 높은 효과를 보였다. 마이크로버블 장치 조사결과 남조류의 저감효과를 보였으며, 반경 20m 까지 영향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