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포스터]식물플랑크톤 수직이동과 일주기 변화 특성 연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포스터]식물플랑크톤 수직이동과 일주기 변화 특성 연구
학술지명 하천호수학회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국제심포지움) 저자 이희숙,송재형,김현진,백승룡,노예은
발표일 2017-10-19

식물플랑크톤은 광 이용 및 영양염류 이용 특성에 따라 다양한 수직이동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남조류의 경우에는 남조류 종, 수심 및 시간대에 따라 상이한 수직분포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6월, 24시간 조사를 통하여 남조류 수직이동 현황 및 시간대별 수질 특성 조사를 통하여 조류분포 현황 및 녹조 대응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지점은 낙동강 강정고령보 인근에서 실시하였고, 수표면으로부터 1, 3, 5m 지점에서 24시간동안 2시간 간격으로 채수하여 조류 및 수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은 유해남조류 개체수 및 총조류 개체수, 그리고 현장 수질측정항목 포함하여 영양염류 등 총 11개 항목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유해남조류 종은 Aphanizomenon속과 Microcystis속이 주로 출현을 하였으며, Aphanizomenon은 시간대별 수직이동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Microcystis속은 군체나 스컴형성 전의 단계로서 수표면 1>3>5m의 순서로 현존량 분포를 보여 조사할 당시에는 수직이동 특성을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용존산소는 상층에서는 거의 일정한 분포를 보였으나, 3m 및 5m 층에서는 조사기간 동안 2회 급격한 감소현상을 보였으며, 이는 Aphanizomenon의 현존량 분포와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다. 영양염류 조사결과 총인은 3m 및 5m에서 변화폭이 크게 나타났고, 인산염인은 주간 변화폭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암모니아성 질소는 5>3>1m의 순서로 높게 나타나 상층에서의 조류에 의한 소비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조사를 통하여 남조류 수직이동과 수질인자간의 상관성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