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조류예측 향상을 위한 유역-하천 모델 개선 연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조류예측 향상을 위한 유역-하천 모델 개선 연구
학술지명 한국환경생물학회 저자 정선아,이혜숙,이희숙,최광순,김호준
발표일 2017-10-26

본 연구는 4대강 주요 보구간에 대한 조류발생 예측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목적으로 기초조사 및 모델링(유역-하천모델)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우선 유입지류별 조류발생 영향인자의 예측력 개선을 위해 다파장 형광측정기를 이용한 조류 그룹별 chl-a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유역모델인 HSPF에 적용하고자 모형의 기능을 개선하였다. 또한 조류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인 수온성층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주요 보 구간(낙동강 강정고령보~합천창녕보, 금강 백제보, 영산강 죽산보)을 수심 1m 간격으로 모니터링 하였으며, 이를 통해 성층강도, 연직 혼합특성, 일주기, 저산소층 형성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성층강도를 index화하고 남조류 발생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으며,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조류예측 모형의 수리계수를 보정함으로써 정확도를 향상하고자 하였다. 한편 조류발생의 공간적 분포를 정밀하게 예측하기 위하여 고해상도의 3차원 모형을 낙동강 합천창녕보~창녕함안보 구간에 구축하였다. 적용모형은 ELCOM-CAEDYM으로서 계산 셀의 크기를 30m×30m×1m(△x×△y×△z)로 세분화하여 고정보, 가동보, 어도, 소수력 등 방류조건 변경에 따른 조류예측 모의를 반영하였으며, 공간적 유속분포 및 조류발생의 입체적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향후 본 연구로부터 고도화된 유역-하천연계 조류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신뢰도 높은 조류예측을 실시하고자 하며, 추가적으로 조류기원성의 이취미, 독소 등 조류 대사물질을 예측하는 기술을 확보하고자 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