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터]금강수계의 부착규조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
---|
학술지명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저자 이희숙,송대성,박연정,김민재
발표일 2017-04-21
|
하천에서 1차 생산자로서 하천생태계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그룹인 부착 규조류는 영양염을 유기물의 형태로 전환시켜 다른 생물이 이용할 수 있게 하며, 생태계 오염의 회복을 돕는다(조 등, 2014; Lamberti, 1996; Mulholland, 1996). 영양염류의 기준의 효과적인 접근 중 하나는 영양물질 농도와 생태적 조건의 생물학적인 지표 생물사이의 관계에 근거하는 것이다(USEPA, 2000) 지표 생물로는 부착규조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어류 등이 존재한다. 그 중 부착규조류를 이용한 생물학적 지표를 활용한 수질평가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은 금강에서 평균 1.4~2.5 mg/L, 용담댐 하류하천은 평균 1.2~1.4 mg/L로 나타났으며, 화학적산소요구량(COD)는 금강에서 평균 5.3~6.0 mg/L, 용담댐 하류하천에서 2.7~3.0 mg/L로 분포하였다. 총인(T-P)는 금강에서 평균 0.040~0.049 mg/L, 용담댐 하류하천에서 0.008~0.014 mg/L로 나타났다. 부착조류 조사 결과, 금강에서는 총 27속 99종이 동정 분류되었고, 용담댐 하류하천에서는 총 25속 75종이 동정 분류되었다. 금강에서는 Achnanthes minutissima, Nitzschia palea 및 Cyclotella atomus 등의 광적응성종과 호오탁성종이 우점하였으며, 용담댐 하류하천에서는 Achnanthes minutissima,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등의 호청수성종과 광적응성종이 우점하였다. 생물학적 수질 평가 결과, 금강 본류의 전체 DAIpo와 TDI 평균은 불량으로 나타난 반면 용담댐 하류하천 평균은 양호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