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저수지의 투수계수에 따른 소성도 분석 |
---|
학술지명 한국지질공학회
저자 임은상,임정열,오제헌,김우용
발표일 2017-04-06
|
최근 국내 저수지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위험도분석기법이 도입되고 있다. 이 기법은 저수지의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저수지의 위험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기하학적 형상, 지반물성, 기초지반 정보 등)가 필요하다. 국내 285개의 재해위험저수지 중 95개 저수지는 정밀안전진단을 수행하였다. 그 중 7개의 저수지만이 시추조사를 수행하여 지반물성을 조사하였다. 이처럼 위험도 분석을 위한 저수지의 지반물성은 부족한 실정이여, 예산상의 이유로 시추조사를 수행하는데 제한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의 대략적인 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추조사를 수행한 저수지를 대상으로 소성도에 대해 상대깊이, 투수계수에 따라 비교 및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제체의 재료기준에 따른 투수계수 적합 여부에 따라 소성도의 범위를 제시하였다. 투수계수 기준에 적합한 저수지는 0~35.1%이며, 기준에 부적합한 저수지는 0~24.8%로 이와 같은 결과는 투수계수가 높을수록 소성도가 낮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NP인 시료가 부적합 저수지의 경우 40%를 차지하여 높은 분포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인 소성지수의 범위는 저수지의 위험도분석을 위한 입력변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