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포스터]FEM에 의한 노후 필댐의 침투 거동 평가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포스터]FEM에 의한 노후 필댐의 침투 거동 평가
학술지명 대한지질공학회 추계학술대회 저자 김남룡,김완영,오제헌
발표일 2017-11-09

노후 저수지 및 댐의 성능개선을 위하여 수행되는 코어부 그라우팅 공법은 신개념 장치와 스마트 시스템의 개발을 통하여 개선이 가능하나, 그라우팅의 보강효과 검증 및 메커니즘을 정립하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치·물리 모델링 기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현재 노후 제체에 대한 그라우팅 보강효과에 대한 기술적인 검증을 수치모델링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로 진행하고 있으나, 수치모델링의 신뢰성 있는 복합물성과 고급 구성모델을 활용한 기법 정립은 미진한 상황이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복합물성과 고급 구성모델을 적용한 그라우팅 보강 필댐의 수치모델링 해석 기법 개발을 기반으로 고급 수치모델링을 통한 노후 필댐 보강효과 검증 기술 정립이 필요하다.  
보강효과 효과 검증 기술 정립에 앞서, 필댐의 침투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침투거동을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침투거동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기 위한 수치해석 및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심코어형댐(ECRD)인 A댐을 대상으로 노후 필댐 침투거동 평가를 위한 해석적 기법을 마련하기 위해 Geostudi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치모델링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대상 댐에 가장 알맞은 함수특성곡선을 기본물성 및 입도분포곡선을 통해 유추하였고, 이를 침투해석에 적용하여 노후 필댐의 정상침투 상태의 거동평가를 수행하였다. 댐을 통한 침투해석은 통상적으로 건전한 심벽상태를 가정하고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런 이상적인 상황은 실제로는 드물며, 재료?다짐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불균질 시공이 되며, 내적침식, 노후화 등에 따라 취약부 및 누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취약부의 상태에 따른 댐의 누수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침투해석을 추가로 수행하였으며, 해석 시 노후화에 따른 코어재 열화, 상대적으로 투수계수가 큰 취약부 구간 등의 조건을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노후 필댐 침투 거동평가를 위한 해석적 기법과 신뢰성 있는 복합물성 연구성과(Park & Oh, 2016)을 활용하여 추후 그라우팅 보강 효과 검증을 위한 고급 수치모델링 해석기법 정립을 위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