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구조물의 실시간 안전도를 파악하는 것은 댐의 안전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홍수로
인해 저수위가 급상승 하는 경우, 불가피한 상황으로 인해 저수위를 급강하 시키는 경우, 혹은 큰
지진이 발생한 경우에는 수위변동 또는 댐체에 가해진 지진가속도의 변화에 따른 댐체의 안전도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면 댐의 안전관리를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필댐에 있어서 실시간 안전도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계측결과와 다양한 하중조건에 대한 침투
안정성 및 사면안정성 해석결과를 결합하여 분석?평가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으며, 하중조건의 변
화 패턴을 예상할 수 있는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안전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이때 대표적인 하중조건으로는 저수위의 변동이 있으며, 저수위는 해당유역에서의 예상 강우량에
의한 유입량 및 방류에 따른 유출량으로부터 산정되므로 확률론적 해석이 필수적이다. 다시 말해
서 저수위 변동을 고려한 댐체의 침투안정성 및 사면안정성은 확률론적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의
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확률론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댐체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실시간 계측결과
와 비교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댐 구조물의 확률론적 분석을 위해 국내 댐 24개를 분
석하여 댐체를 이루고 있는 Zone별로 Taylor Series Method를 활용한 FOSM방법으로 정수위
조건에서의 Fragility Curves를 도출하였으며, 계측결과와 연계하여 홍수시 댐체의 안전도를 실시
간으로 예측할 수 있는 실시간 통합안전관리 시스템의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