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구간 녹조발생 원인물질 거동해석 연구 |
---|
학술지명 한국환경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
저자 최광순,이승윤,이혜숙,정선아,김호준,김영성
발표일 2017-10-26
|
본 연구는 최근 낙동강수계에서 발생하는 녹조현상에 대한 과학적인 원인규명과 함께 조류 발생 예측모델의 향상을 목적으로 2017년 5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강정고령보∼창녕함안보 구간을 대상으로 조류성장의 한 요인인 영양염류의 거동해석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이다. 주요 연구내용은 보 구간 내 영양염류 및 유기물의 유입과 유출, 부유물질 침전, 유기물 분해, 조류의 일차생산 및 영양염류 이용율 분석, 퇴적토로부터의 영양영류 용출에 대해 조사이며, 2017년 현재 진행 중인 연구와 함께 향후 연구계획을 소개하고자 한다. 보 구간 내에서 영양염류의 유입?유출 특성과 부하량 산정을 위해 낙동강수계 내 5개 보 방류지점과 12개 유입지천을 대상으로 평수기에는 주간단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강우 시 조사를 위해 5개보 및 9개 유입지천에 강수량 프로그램과 원격조정에 의한 시간별 시료 채수가 가능한 자동채수시스템(자동채수기 14대 및 중앙관제장치)을 구축하였다. 또한 수위측정소가 없거나 측정소의 자료를 활용할 수 없는 3개 지천에 레이다수위계를 설치하였다. 보 구간 내 부유물질의 침전량과 침전속도는 Sediment trap을 설치하여 월 1∼2회 조사를 하였으며, 유기물의 분해속도는 지류와 보 지점에 대해 월 1회 조사하였다. 조류의 영양염류 이용율과 일차생산력 조사는 10월부터 수행할 예정으로 수중의 광분포, 조류의 성장 속도, 그리고 환경요인과 일차생산력과의 상관성에 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퇴적물로부터 영양염류의 용출량 및 용출속도는 국립환경과학원의 자료를 활용할 계획이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보 별 영양염류의 물질수지 및 지류별 기여도 분석 자료는 보 유역의 수질개선대책 수립의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또한 보 구간 내 부유물질 침전속도, 유기물 분해특성, 영양염류 이용률, 용출속도, 광수산계수 등은 조류예측을 위한 모델인자로 활용되어 보다 과학적인 조류관리에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