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포스터]산소와 질소의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한 수질오염 기원 해석 (2)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포스터]산소와 질소의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한 수질오염 기원 해석 (2)
학술지명 한국분석과학회 저자 정영철,이정엽,최재원,김윤석
발표일 2017-05-18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기술은 환경 분야에서 오염원의 기원을 추적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의 수질관리는 기존의 화학분석법을 적용하여 오염원 관리 및 오염실태 등을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생성 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원 추적에 명확한 환경영향평가가 가능하도록 분석법을 보완하고자 수질 내 산소 동위원소(δ18O)와 질소 동위원소(δ15N)를 대상으로 안정동위원소 측정하여 해석기술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오염원 특성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G댐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오염원의 특성이 명확히 구분되는 댐 저수지, 댐 하류, 유입천 등 5개 지점을 선정하여 1년간 총 5회 취수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선정 지점 별로 오염원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각기 다른 동위원소비를 나타냈으며, 대부분의 지점에서는 자연 유래 오염원이 유입된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가축 폐수 및 하수오염원의 유입 가능성을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유입량이 적은 지점에서 발생한 오염원이 댐 저수지에 수질오염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도 보였다. 지점별로 장마철에 접어들면서 질소 안정동위원소의 경우 약 2~12‰, 산소 안정동위원소의 경우 약 2~20‰ 증가하였으나 장마기가 끝난 10월의 안정동위원소 수치는 장마 시작 전과 비슷한 수치로 감소하였다. 이는 강우에 의해 하천 주변의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되며, 장마철이 끝난 후 겨울철에 산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수치는 자연유래 안정동위원소 수치로 빠르게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δ18O와 δ15N의 안정동위원소 측정결과로 가뭄에 따른 환경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