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포스터]산사태 모형 TiVaSS의 지진모듈 개발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포스터]산사태 모형 TiVaSS의 지진모듈 개발
학술지명 한국농공학회 저자 안현욱,김민석,이기하,김연수
발표일 2017-10-15

산사태의 주요 발생 원인은 크게 강우와 지진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 중 강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예측은 널리 이루
어지고 있으나 지진에 의한 산사태 발생 예측 및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 이유로는 국내에 산사태를 발
생시킬만한 큰 규모의 지진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있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하지만 2016년에 경주지역에 강도 5.8
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국내에서도 지진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 두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 중 본 연구에서
는 산사태 모형에 지진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산사태 발생 예측은 재해를 예방하고 대
처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이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산사태 발생 예측 기법은 크게 경험론적 지수기법, 통계적
해석기법, 물리적 해석기법으로 나뉠 수 있다. 이 세 방법은 각기 장단점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후자로 갈수록 많은 데
이터가 요구되고, 해석에 시간이 필요하며, 보다 신뢰할만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진에서는 지형의 영향을
반영한 사면안정예측을 위해, 근래에 3차원 토양수분모형과 무한사면안정해석 모형을 결합한 시변 사면안정해석모
형 TiVaSS(Time-varient Slope Stability Model)를 개발하였다. TiVaSS는 현재 국내외 여러 지역에 성공적으로 적용
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지진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모듈을 추가하였다. 지진에 의한 산사태 발생 예측 방법은
크게 두 분류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사면에 대한 역학적인 분석을 기초로 한 정적인 방법이며 넓은 범위의
분석에 적합한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특정 사면을 탄성체로 보고 동적인 역학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
에서는 TiVaSS 모형과의 연계를 위해 첫 번째 방법을 사용하여 지진의 영향을 반영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