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포스터]담 염수경계 지역에서의 지하수 관리구역 설정 기법 연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포스터]담 염수경계 지역에서의 지하수 관리구역 설정 기법 연구
학술지명 대한지질공학회 저자 최명락,장광수,김덕근,배종섬,김규범
발표일 2017-04-06

GI Waterway는 한강의 담수와 서해의 염수가 혼합되어 존재하는 하천으로서 인근의 김포평
야 지대의 농업활동에 염해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혼합 염수의 확산을 철저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GI Waterway 주변의 김포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Analytic
Hierarchy Process 방법을 활용하여 관리의 중요도를 평가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AHP 분석을
위하여 연구지역을 100×100 m의 그리드로 구분하였으며, 각 계층의 입력 인자 결정을 위하여
전문가의 의견수렴을 통하여 1차 평가 인자 2개, 2차 평가 인자 3개를 설정하였다. 지하수 전공
자들의 설문을 통하여 각 인자의 가중치와 점수를 부여하여 각 그리드별 최종 평점을 산정하였
다. 평가 결과 평점의 누적분포 곡선으로부터 Waterway 주변의 약 1.56 km2의 면적을 관심구역
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Waterway의 북측 보다는 남측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
는 남측에는 농업용 암반관정이 다수 굴착되어 있고, 비닐하우스 경작용으로 취수가 이루어지
는 점 등이 평가 점수에 반영되어 나타난 것이다. 이들 지역의 관리는 지속적인 지하수 관측을
통한 전기전도도 및 수질의 변화 분석, Waterway 운영에 따른 하천과 지하수의 수문학적 변화
관리, 주변 지하수 과다 양수에 의한 지하수 흐름 변동을 막기 위한 취수량 관리 및 신규 관정
의 최소화 등이 필요할 것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