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막여과 정수장 망간 제거를 위한 과망간산 적용성 평가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막여과 정수장 망간 제거를 위한 과망간산 적용성 평가
학술지명 대한환경공학회 저자 이영주,이경혁,유영범,이다애,김민재
발표일 2016-11-18

가뭄으로 인한 호소수 수위 저하로 원수 중 망간 농도가 급증하였으며, 막여과 정수장 특성상 정수장 내 체류시간이 2시간 이내로 매우 짧아 망간 처리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Fig. 1). 먹는물의 망간 농도 기준은 0.05 ㎎/L 인 반면, 막여과 정수장에서의 망간 최대 제거율은 염소 과량 주입 및 가성소다를 이용한 pH 조정으로도 최대 50% 이하이기 때문에, 원수 중 망간농도 0.1 ㎎/L 이상 유입시 먹는물 수질기준 준수가 어려운 상황이다. 용존성 망간의 대표적인 제거 기법으로는 산화 및 접촉여과가 있으나, 막여과의 경우 오로지 산화에 의해 용존성 망간을 입자성 망간으로 전환 후 막여과에 의해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강력한 산화제 사용이 필요하다. PVDF 계열의 막여과에 적용 가능한 산화제는 염소 및 과망간산이 있으며 염소는 접촉시간 및 pH의 영향을 많이 받고 실 공정에서의 제거율이 50% 이하로 나타나, 막여과 공정에서의 적용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망간산을 이용한 망간 제거 효율 및 막모듈 테스트를 통해 막여과 공정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