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상서지역의 지하수 수질 및 질산성질소의 공간적 분포 |
---|
학술지명 대한지질학회
저자 신경희,백건하,김덕근,이석형
발표일 2017-10-25
|
본 연구에서는 부안상서 국가지하수관측소 인근 지역의 지하수 수질특성 및 질산성질소의 오염현황을 파악하였다. 연구지역이 위치한 부안군 상서면은 서쪽으로 산지가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평야지대가 발달하여, 대부분의 지역에서 농업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연구지역의 지하수 수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선정된 지하수 관정에 대하여 지하수를 채취하여 현장간이수질(pH, EC, Eh, DO)을 측정하였으며, 휴대용 질산성질소 측정기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질산성질소 농도를 측정하였고, 채취된 시료를 분석기관에 의뢰하여 양?음이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지역 지하수의 현장간이수질 분석결과, 수소이온농도(pH)는 대부분의 지점에서 중성 내지 알칼리성의 범위를 보이며, 산화환원전위(ORP)는 모두 산화환경으로 나타났다. 전기전도도(EC)는 대부분의 지점에서 500μS/cm 내외의 값을 보이며, 용존산소(DO)는 1.59~12.36mg/L(평균값 5.86mg/L)로 나타났다. 연구지역 지하수의 이온분석결과, 대부분의 관정에서 질산염(NO3-)의 농도가 염소(Cl-)와 황산염(SO4-)의 농도보다 높게 나타나 NO3룰 고려한 Piper diagram을 이용하여 수질유형을 분류하였다. 수질유형 분류결과에 의하면 인위적인 오염원의 영향을 받아 나타나게 되는 Ca-(Cl+NO3)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일부 지점은 일반적으로 오염되지 않은 천부지하수의 수질유형인 Ca-HCO3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연구지역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농도는 연구지역 남측부에서 높은 농도의 질산성질소 값을 보이고 있으며, 질산성질소의 농도가 높은 지점들의 이온함량패턴이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나 동일기원의 오염원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