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포스터]강우관측소 지점에 따른 지하수 수위와의 상관관계 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포스터]강우관측소 지점에 따른 지하수 수위와의 상관관계 분석
학술지명 대한지질학회 저자 배종섬,김덕근,김지욱,김대희
발표일 2017-10-25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영향으로 다양한 이상기후들이 전 세계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영향으로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강우량의 시·공간적인 변동성이 심화되어 강우의 지역편차가 심해지고 있다(배성환, 2013)
지하수 수위의 변동은 강우와 함께 여러 수리지질학적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연속적인 지하수 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시계열 분석을 하는 경우 강우자료와 지하수 수위 자료만으로도 대상 대수층의 특성 파악이 가능하다(최현미외, 2010; 이진용 외, 2002).
 대부분의 지하수 수위 자료분석 시 관측공과 가장 인접한 기상청의 강우자료를 활용하고 있으나, 최근의 기상 특성과 강우 관측소의 분포 특성을 고려하면 두 지점간의 거리, 지형, 고도 등에 의해 분석 결과에는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성주벽진 국가지하수관측소(충적)의 지하수 수위자료와 관측소 상부에 설치한 강우량계(Aerodynamic rain gauge)의 강우량 자료에 대한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성주벽진 국가지하수관측소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대구기상대의 강우량 자료와 비교 분석을 하였다. 약 8개월(2016/10 ~ 2017/6) 기간에 대한 일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강우 관측 2지점에 대하여 비교하였을 때, 총강우량의 차이는 약 17㎜, 총 강우일수 차이는 17일로 나타났다. 강우와 지하수 수위의 교차상관 분석결과 국가지하수관측소에서 관측한 강우자료 및 대구기상대에서 관측된 자료 모두 지하수 수위에 대한 지연시간은 약 1일로 짧게 나타났으며 각 강우관측 지점에서 강우량과 수위와의 분석 결과 관측소 상부에 설치된 강우자료가 대구기상대의 강우자료에 비하여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