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포스터]한강권역 국가지하수관측망의 관측자료 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포스터]한강권역 국가지하수관측망의 관측자료 분석
학술지명 대한지질학회 저자 강수환,백건하,배종섬,신경희
발표일 2017-10-25

국가지하수관측망은 지하수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 지하수 수문자료를 확보하고, 전국의 지하수 수위 및 수질의 변동 상황을 감시, 관측하기 위해 ‘96년부터 지하수 수위, 수온, 전기전도도를 관측하고 있다.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는 수자원 및 지하수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어 지하수 관리 및 보존을 위해 정확한 변동양상 분석과 현황 파악이 중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한강권역의  지하수 변동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체계적인 지하수 관리와 기후변화 예측 및 평가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한강권역의 지하수 수위분석은 ‘95~’15년에 설치된 한강권역 121개 국가지하수관측소 중 5년 이상의 장기관측자료를 보유한 101개 관측소를 대상으로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본통계 분석과 더불어 선형추세, 백분위 상자도식을 이용하여 그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지하수 변동 추세 분석결과 지하수 수위의 경우 암반관측정은 101개소 중 약 31%에 해당하는 31개소가, 충적관측정은 46개소 중 약 33%에 해당하는 15개소에서 하강추세를 보였고, 수온의 경우 암반층 101개소 중 63개소(62%), 충적층 47개소중 30개소(65%)가 상승추세를 나타냈다. 전기전도도는 암반층 101개소 중 70개소(69%), 충적층 46개소 중 28개소(61%)가 상승 추세를 보였다.
2015년 지하수 수위는 각 관측소의 5년 이상 관측자료의 백분위 상자도식에 중첩한 결과 암반층의 경우 수위상승이 3개소, 하강이 48개소이며 충적층의 경우 수위하강이 25개소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추세분석결과에서 하강추세를 보인 관측소 보다 더 많은 관측소에서 하강 양상이 나타난 결과로 최근 가뭄에 의해 지하수 수위가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지하수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강우의 변화는 연강수량은 크게 차이가 보이지 않지만 강우일수 감소, 집중호우 빈도 증가 등의 이상 기후변화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갈수기 및 가뭄지속 일수 증가 등으로 본 연구결과와 같이 지하수 수위 하강지역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물부족 문제는 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그러므로 체계적인 지하수 관측과 분석으로 기후변화에 대비한 수자원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