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그라우팅 보강 전.후 코어재 물성 비교 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그라우팅 보강 전.후 코어재 물성 비교 분석
학술지명 2017 대한지질공학회 춘계학술대회 저자 오제헌,박동순,김남룡,김완영
발표일 2017-04-06

저수된 물을 안전하게 차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댐 차수층의 성능 저하는 댐의 안전에 있어서 가장 불리한 부분이다. 특히 필댐의 경우 차수층(코어부)의 열화에 따른 성능저하로 침투수 유출, 내적침식, 파이핑 등과 같은 위험성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열화로 인해 저하된 필댐 코어부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유력한 방법은 그라우팅(grouting)공법으로, 특히 저압 침투 그라우팅(Injection grouting) 공법이 가장 차수성 개선에 효과적으로 적용 될 수 있다(Park&Lim, 2016).
필댐의 차수층 성능개선을 위한 그라우팅 보강 시공에 따른 주입효과를 판정하기 위해 검사공 천공을 통한 표준관입시험, 투수시험, 지시약반응시험 등을 토대로 주입효과를 분석하며, 주로 투수계수 목표치 설정(α×10-5cm/sec)을 통한 그라우팅 주입효과를 판정한다. 그러나 그라우팅 보강에 따른 코어재의 전반적인 물성변화양상과 이에 따른 보강효과 검증에 대한 기술적인 상세와 학문적인 정립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필댐(A댐)을 대상으로 댐 일부 구간에 침투 그라우팅 공법을 적용하여 시험시공을 수행하였으며, 그라우팅 보강 효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A댐에 대하여 그라우팅 보강 시험 시공 전·후 광범위한 지반조사를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코어재의 기본물성(입도분포, 함수비, 밀도, 액소성한계 등), 역학적 물성(투수계수, 강도정수, 압밀 등)을 획득하였다. 기존의 Park&Oh(2016)가 제시한 국내 필댐 코어재 통계 물성DB를 활용하여 A댐의 보강 전·후 코어재 물성의 건전성을 평가하였고, 나아가 그라우팅 보강효과 분석을 위해 필댐 코어부의 그라우팅에 따른 물성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추후 본 연구에서 분석한 그라우팅 보강에 따른 코어재 물성변화 양상을 통해 기존 노후댐의 성능개선을 위한 그라우팅 보수보강 시공 시 보강효과 판정에 있어서 유용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