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터]하천수위 변동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량 예측 알고리즘 연구 |
---|
학술지명 대한지질공학회
저자 김덕근,김규범,김지욱,백건하,배종섬
발표일 2017-04-06
|
일반적으로 지하수위의 상승은 강우가 발생하거나 인근 하천수위가 상승한 후 나타나게 되는데, 매질의 특성과 지표수-지하수 연계성 등에 따라 지하수위의 상승 기울기에 차이를 보인다(김규범 등, 2014). 보 건설 이후 대하천변 지하수위의 변동은 강우보다는 하천수위의 변동에 영향을 받으며, 하천과의 거리에 따라 변동량 및 지체시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6). 본 연구에서는 하천수위의 변동에 따른 지하수위의 변동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낙동강 유역에 분포하는 지하수위의 자동관측정에서 시계열 자료를 추출하여 지하수위의 상승비를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상승비를 이용하여 하천수위의 변동에 따른 지하수위의 변동량 예측 알고리즘을 고안하였다. 여기에 적용된 지하수위의 상승비는 하천수위의 변동량에서 지하수위의 변동량을 나눈 값으로 산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산정된 지하수위의 상승비에 대해 상자수염도표(box-whisker plot)를 이용하여 이상치를 제거한 후, 하천에서부터 지하수 관측정까지의 이격거리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상승비를 산출하고 이를 대표값으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상승비의 전체자료에 대한 평균값은 최소상승비로, 90% 해당하는 값에 대해서는 최대상승비로 선정하여 하천수위의 변동에 따른 지하수위의 변동량 예측 알고리즘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예측 알고리즘은 홍수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대책수립에 효율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보 운영수위의 조절 등이 필요할 경우에도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