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터]지역특성에 따른 지하수 수질특성 비교 |
---|
학술지명 대한지질공학회
저자 김덕근,김완영,배종섬,신경희
발표일 2017-04-06
|
본 연구에서는 무안군 해제면, 문경시 영순면, 부안군 상서면 지역을 대상으로 각기 다른 지역특성에 따른 지하수 수질 특성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지역에서 기존의 연구는 김현정과 여인욱(2014), 고용권 등(2000), 박주현 등(2008)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지하수의 수질분석은 현장간이수질분석과 이온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무안군 해제면 지역에서는 현장간이수질분석 15지점(이온분석 10지점), 문경시 영순면 지역에서는 현장간이수질분석 10지점(이온분석 9지점), 부안군 상서면 지역에서는 현장간이수질분석 11지점(이온분석 8지점)의 수질분석이 시행되었다. 연구지역인 무안군 해제면은 인근에 바다가 위치하고 100 m 내외의 구릉 및 저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부분 농지로 이용되고 있다. 문경시 영순면은 동쪽으로는 금천이 서쪽으로 영강이 흐르고 있으며 얕은 구릉지와 농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논농사를 중심으로 재배가 이루어지고 곳곳에 소ㆍ돼지 축사가 위치한다. 부안군 상서면은 서쪽으로 바다가 위치하며 평야지대인 동쪽에서 서쪽으로 갈수록 구릉과 산지가 구분되며, 대부분의 지역에서 쌀ㆍ보리가 재배되고 있다. 현장간이수질분석 결과, 수소이온농도(pH)는 대부분의 지점에서 중성 내지 알칼리성의 범위로 나타나며, 산화환원전위(ORP)는 세 지역 모두 산화환경으로 나타났다. 전기전도도(EC)는 부안지역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이며, 무안지역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고, 용존산소(DO)는 다른 두 지역에 비하여 문경지역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수질유형분석 결과, 무안지역의 수질유형은 수질분석 대상지점 모두 Ca-(Cl+SO4) 유형(10지점)으로 나타나며, 문경지역은 Ca-HCO3 유형(6지점)이 우세하며, Ca-(Cl+SO4) 유형(2지점), Na-Cl 유형(1지점)의 순으로 나타나며 있다. 부안지역은 Ca-(Cl+SO4) 유형(6지점), Ca-HCO3 유형(2지점)의 순으로 수질유형이 나타나고 있다. 진행 연구로 지하수 관정이 위치한 주변 지역에서의 정밀조사를 시행하고 있으며, 토지이용조사와 지하수 이용량 등 수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를 분석 중에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