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터]국가관측소에서 지하수 수위 및 수질의 시계열 자료 특성 분석 |
---|
학술지명 대한지질공학회
저자 김덕근,백건하,강수환,김태형
발표일 2017-04-06
|
본 연구에서는 국토교통부에서 운영 중인 국가지하수 관측소의 장기관측 자료를 분석하여 지하수 수위 및 수질의 변동 원인을 규명하고, 필요시 대책 수립을 통해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기존 연구로는 이명재 등(2004)이 있으며, 관측자료에 대한 변동특성 파악을 위해서는 국가지하수 관측소의 자료에 대한 연속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방법으로는 지하수 수위 및 수질 자료에 대해 불규칙적으로 변동하는 장기관측 자료를 대상으로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여 미래의 변동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시계열 분석이란 분석하고자 하는 자료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표시된 자료의 특성을 파악해서 미래를 예측하는 분석 방법을 말한다(한광종, 2014). 연구지역으로는 지하수 수위 및 수질의 시계열 자료에서 상승 추세를 나타내는 정선정선 관측소의 충적관정을 대상으로 하였다. 관측소 위치는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덕송리에 있으며, 인근에 덕송정수장과 서측에는 비봉산이 위치하고 있으며, 동측에는 조양강이 흐르고 있다. 관측소는 2001년 12월에 설치되어 운영 중에 있으며, 충적관정의 심도는 42 m이다. 충적관정의 시추 주상도를 보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하상퇴적의 점토와 자갈, 정선석회암의 풍화대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장기관측 시계열 그래프에서 관측이 시작된 2002년 이후 지하수 수위가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2007년에서 2010년 사이에 지하수 수위가 높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하수 수위의 상승 원인에 대해 강수량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관성이 낮게 나타나며, 다른 요인에 의하여 지하수 수위가 변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다변량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하수 수위 변화에 따른 지하수 수질 변화 양상을 분석함과 동시에 수리지질학적 인자를 적용하여 지하수 수위 상승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후에 지하수 모델링을 실시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하수 수위 변화를 예측하고자 한다. |